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27일 저축의 날 "'저축률' 높아야 경제도 성장한다"

"국민소득이 곧 3만달러에 이른다는데, 내 소득은 제자리걸음안 것 같다.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모르고 노후대비도 해야 하고, 주택 대출금도 곧 원금상환을 시작해야 하니 안쓰는게 당연한다."

중소 정보기술(IT) 기업에 다니는 박모씨(35)의 얘기다.

27일은 저축의 날이다. 지난해 가계저축률이 최근 10년새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하지만 저축률은 너무 높아도 낮아도 고민이다. 경제상화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계저축이 지나치게 낮거나 높을 경우 경제성장에 부담 요인이다. 서민들이 저축만 하고 주머니를 열지 않으면 내수는 얼어붙는다. 반대로 가계저축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기업 투자가 줄어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된다.

◆저축률 OECD 최저 수준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이하 가계저축률)은 6.1%로 2004년(7.4%)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는 전년에 비해 1.2%포인트 급증한 것이다.

당시 김영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가계저축률이 높은 것은 경제 안정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가계 소비성향이 낮아진 점은 경기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 전문가들도 "질 낮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이 늘고 자영업 상황이 악화하면서 국민소득 증가만큼 가계소득이 늘지 않고 있는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기조가 지속돼 미래에 대한 불안까지 겹치자 가계가 돈을 쓰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 적잖다.

일시적으로 높아지긴 했지만 가계저축률은 지난 2001년 이후 5%를 넘은 경우가 2004년(8.4%)과 2005년(6.5%) 두차례 뿐일 정도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올림픽이 열렸던 1988년 24.7%로 정점을 찍었던 가계저축률은 1990년대 평균 16.1%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이어가 2001년(4.8%)부터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를 밑돌았다.

2011년 기준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3.4%로 OECD 평균인 5.3%에 훨씬 못 미친다. 이는 9~13%에 달하는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 주요 국가는 물론 저축 안하기로 유명한 미국(4.2%)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가계저축률이 구조적 하락국면에 있다고 지적하다.

그 요인은 인구 증가율 정체, 인구고령화에 따른 피부양인구 증가, 부동산가격 상승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확대, 저금리 기조 등이 꼽힌다.

이 가운데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둔화로 가계가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감소한 게 주 요인으로 꼽힌다. 즉 가계가 저축을 안한게 아니라 못했다는 뜻이다. 연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1990년대 10%대를 상회하는 증가율을 보였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5% 전후로 하락했다.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실질소득은 정체 상태에 빠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금리 하락으로 저축에 대한 유인이 줄어든 것도 큰 요인이다.

◆"저축률 높여야 경제도 성장"

저축률에 대한 해석은 경제학자들 사이에 다소 이견이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내수와 투자 활성화를 위해 저축률을 점진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는 데는 대체로 의견이 모인다.

미국은 지난해 하원에서 '저축증진법'을 통과시키며 노후 대비와 생활 안정을 위한 가계의 저축을 장려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천구 선임연구원은 '가계저축률 급락과 파급 영향' 보고서에서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하락할 때 투자는 0.25%포인트, 경제성장률은 0.19%포인트 각각 하락한다"고 분석했다.

기업투자의 경우 가계저축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런 상관관계는 2000년대 들어 더욱 공고해졌다.

김 선임연구원은 "가계저축률 하락 추세가 지속되면 투자와 경제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노후 소득보장 문제도 심각해질 수 있다"며 "저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계의 소득기반을 확충하고 경제의 선순환 고리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호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