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2015 국제축구연맹(FIFA) U-17 월드컵 8강을 노리던 '리틀 태극전사'들이 벨기에에 발목이 잡혔다.
최진철 감독이 지휘하는 한국 대표팀은 29일(한국시간) 칠레 라 세레나의 라포르타다 스타디움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16강전에서 0-2로 패했다.
한국은 전반 11분 벨기에의 요른 반캄프에게 결승골을 내줬다. 후반 22분에는 마티아스 베레트에게 추가골을 허용했다.
후반 25분 벨기에의 중앙수비수 로랑 르무안이 퇴장당하면서 한국은 수적으로 우위에 서는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후반 26분 오세훈(16·현대고)이 유도한 페널티킥을 이승우(17·바르셀로나)가 실축해 승부를 뒤집지는 못했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1987년과 2009년에 이어 세 번째 8강 진출에 도전했다. 조 1위로 16강에 오르면서 기대를 갖게 했다. 그러나 벨기에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번 대회는 한국 축구의 미래를 이끌어갈 U-17 대표 선수들에게 값진 경험이 됐다.
대표팀의 스타 플레이어였던 이승우는 이번 대회에서 한 골도 넣지 못했다. 그러나 FIFA 주관 대회 국가대표로 출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성인 대표팀에서도 활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터뜨린 장재원(17·울산현대고), 기니를 상대로 후반 추가 시간에 극적인 득점을 올린 오세훈도 이번 대회에서 발견한 기대주다.
장재원은 브라질과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후반 34분에 천금 같은 결승골을 꽂았다. 오세훈은 기니와의 경기에서 후반 45분 교체 선수로 들어가 추가 시간에 골을 터트리며 장신 스트라이커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줬다.
최진철 감독의 용병술도 대회 내내 화제가 됐다. 브라질과 1차전에서 이상헌(17·울산현대고)이 그라운드에 들어가자마자 득점의 발판을 마련했다. 기니와 2차전 때도 오세훈을 투입한 것이 적중했다.
최진철 감독은 이번 대회로 앞으로 연령대별 대표팀을 키워나갈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인정받았다.
2007년 한국에서 열린 U-17 월드컵에서도 우리나라는 조별리그 탈락의 부진을 겪었다. 그러나 당시 대표팀이었던 김승규(울산), 한국영(카타르SC) 등은 지금 성인 대표팀의 주축이 됐다. '리틀 태극전사'의 앞으로의 활약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