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주주와의 동행에 나섰다. 대규모 자사주 매입과 분기 배당 추진이 핵심이다.
삼성전자는 11조3000억원의 대규모 자사주를 매입하고 매입한 주식을 전량 소각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이 같은 소식에 주가도 화답했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장중 6% 이상 급등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이날까지 8거래일째 오름세로 장을 마감했다. 주주친화 정책에 투자자들이 '사자'로 화답한 것이다. 이런 반응은 자사주 취득 결정이 주가 부양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를 계기로 삼성전자가 경영효율화에 나설 것이란 기대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이재용의 선택, '주주가 곧 삼성'
삼성은 이날 실적발표에서 3∼4차례에 걸쳐 11조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혔다. 사상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는 애플·구글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에 비해 배당성향 등 주주친화 정책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에 대규모 자사주 매입계획 발표를 통해 그간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투자와 주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투트랙(Two track)' 전략에 나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주주친화정책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과감한 결단을 내림으로써 전격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이사회는 1회차 자사주 매입 규모를 4조2000억원으로 결의하고 10월 30일부터 3개월간 보통주 223만주와 우선주 124만주를 매입할 예정이다.
1회차 매입에서 우선주 비중을 35%로 하는 배경은 이사회 결의일 전일 기준으로 우선주 주가가 보통주에 비해 22%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우선주 매입 비중을 높임으로써 동일한 금액으로 더 많은 수량의 주식을 소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우선주 주가가 보통주에 비해 10% 이상 낮을 경우 우선주 매입 비중을 높임으로써 동일한 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소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사주 소각으로 인한 향후 주당 배당금의 증가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보통주와 우선주 주주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향후 3년간의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연간 발생하는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30~50%를 배당 및 자사주 매입 방식으로 주주환원에 활용할 방침이다.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자금 중 설비투자분을 제외하고 남는 재원의 최대 절반까지를 주주환원에 쓰겠다는 의미다.
특히 앞으로 3년간 배당에 중점을 두고 주주환원을 진행하되 잔여재원이 발생하면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실시할 예정이다.
올해 배당은 내년 1월 이사회 결의 후 발표될 예정이며 2016년부터는 분기배당 도입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미래성장을 위한 기술 리더십과 안정적 재무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매년 200억달러 이상의 시설투자와 120억달러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를 집행하면서도 장기적 관점에서 주주와 회사의 가치제고를 위한 현금 활용 방안에 대해 고민해 왔다"면서 "일관되고 지속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사업성장뿐만 아니라 주주가치를 극대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재용 부회장 다음 행보는, '경영효율화'
"삼성전자가 주주친화 정책에 인색하고 주가 부양의지가 없다"는 시장의 우려를 단번에 날려버렸다는 게 시장 평가다. 지금까지 일부에서는 이건희 회장의 지분(3.38%) 승계 과정에서 상속세 부담을 줄이려고 삼성쪽이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을 방치할 것이라는 분석을 했지만, 이와는 확연히 다른 것.
투자와 시장의 관심은 이 부회장의 다음 행보다.
현재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분할 및 합병, 삼성SDS,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물산 등 계열사 간 추가 합병 가능성이 거론된다.
그러나 단기간의 합병 가능성은 제한적이고, 이 부회장이 삼성은 그룹 내 비주력계열사 매각이나 사업부 분할 등 사업구조 개편과 같은 경영효율화에 힘쓸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삼성전자 IR그룹장인 이명진 전무는 기존에 매입한 자사주를 삼성SDS와의 합병에 사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현재 삼성SDS와의 합병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2015년에 시설투자비로 27조원(전년 대비 14% 증가)을 쏟아 붓기로 한 것도 사업구조 및 경영효율화 전략의 하나로 평가된다. 3·4분기까지 누적된 투자액은 19조2000억원 가량이다.
한국투자증권 윤태호 연구원은 "외부적으로는 주주친화정책 등을 통해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투자자 지지를 이끌어내고, 내부적으로는 비주력 사업 분할 및 매각, 구조조정과 인력재배치 이후 조직 재정비, 부실요인 선반영 등 기초체력을 만드는 것에 집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배구조 개편은 오너일가를 중심으로 한 지분 정리 과정이다. 하지만 자원 재분배라는 점에서 그룹의 사업구조 개편과 맞닿아 있다. 삼성그룹이 이 부회장의 실용주의 경영을 앞세워 한화와의 빅딜, 중복사업 매각 및 분리, 비운영자산(부동산 등) 매각에 나서는 것도 이같은 맥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