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한국 소비자는 수입화장품 회사의 봉"

주요 수입 화장품 국내외 가격 비교 표/한국 소비자연맹



"한국 소비자는 수입화장품 회사의 봉."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들이 국내에서 폭리를 취한다는 비난이 현실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주요 수입화장품의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 판매가격과 국내 가격을 비교한 결과 최고 2.46배나 비싸게 제품을 판매했다고 9일 밝혔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지난 7월 공정거래위원회의 예산을 지원받아 국내에서 많이 판매되는 65개 화장품을 대상으로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대상 브랜드는 라로슈포제, 버츠비, 바이오더마 등 54개 제품은 백화점 가격은 이들 외국 5개국의 평균가격보다 1.02∼1.56배, 올리브 영·롭스 등 드럭스토어 판매제품은 외국 평균가격보다 1.11∼2.46배 비쌌다.

비오템의 옴므 폼 쉐이버(200㎖)는 1.56배, 록시땅의 시어버터 핸드크림(150㎖)은 1.21배, 바비 브라운의 스킨 파운데이션 SPF15 PA+(30㎖)는 1.30배 국내 가격이 비쌌다.

슈에무라, 하다라보 등 일본산 화장품 11개를 포함한 63개 제품은 백화점에서 판매되는 화장품이 1.04∼1.73배, 드럭스토어 판매제품은 1.27∼2.69배나 고가였다.

드럭스토어 판매제품 중 국내외 가격차가 큰 제품은 라로슈포제 시카플라스트 밤 B5 100㎖제품으로 국내 가격은 2만9904원이었고 외국 가격은 1만2158원으로 2.46배나 차이를 보였다. 라로슈포제의 경우 국내 가격이 프랑스 현지에 비해 현저히 비싼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성들 사이에 프랑스 여행시 반드시 구매해야할 품목으로 꼽히고 있다.

조사 대상 65개 제품 중 가격조사가 되지 않은 2개 제품을 제외한 63개 제품은 개별 제조국에서의 판매가격보다 국내 판매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제조국 판매가격보다 1.04∼1.73배 비쌌고 드럭스토어의 경우 가격 격차가 더 컸다. 드럭스토어 제품은 제조국 판매가격보다 1.27∼2.69배 비쌌다.

한국소비자연맹은 "관세청에서 공개하는 수입원가와 조사에서 나타난 판매가격을 비교해본 결과 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화장품은 수입 원가에 비해 3배 이상(최대 9배까지)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조사 대상 제품의 국내 온라인 가격은 오프라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했지만 드럭스코어가 할인행사를 열면 온라인보다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입화장품은 지난 2011년 통관가격 대비 24배 이상 폭리를 취한다는 비난을 받은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