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미국의 금리인상이 확실시 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2월 15∼16일(현지시간) 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금리의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신흥국을 중심으로 대규모 '머니 무브(자금 이동)'를 가져올 트리거(방아쇠)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도 출렁일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29일 국제금융센터와 해외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다. 미국의 고용과 물가 지표가 금리 인상 조건을 충족하는 수준으로 개선돼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조사한 인상 가능성도 지난달 64%에서 최근 92%로 높아졌다.
하지만 미 금리인상이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곧바로 이어지진 않을 전망이다. 최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행 정순원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우리나라의 경기 회복세가 견고해지지 않을 경우 금리인상을 고민하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국내 기준금리를 곧바로 올리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고려됐던 추가 인하보다는 인상 시기를 고민하기 시작할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다음달 미 금리 인상에 대해 "금융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지 않는 한 연내 인상 가능성이 크다"면서 "앞으로 시장의 주된 관심사는 금리 인상의 속도로 바뀔 것"이라고 예상했다.미 연준은 그동안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점진적으로' 올려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누차 강조해 왔다.
신흥시장국이나 글로벌 금융시장의 여건을 고려해 가며 인상 속도를 결정할 것이란 해석이다.
국제 금융시장에선 연준이 현재 제로(0) 수준인 기준금리를 내년 한 해 동안 3∼4차례에 걸쳐 0.75∼1.00%포인트 수준으로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를 비롯한 11개 해외 투자은행(IB)은 올 12월에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BNP파리바, 바클레이즈, 노무라 등 3곳은 내년 3월에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가 미국의 10월 고용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발표되자 올 12월로 인상 시점을 앞당겼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올 12월에 0.25%포인트 올린 뒤 내년 중 총 4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총 1.0%포인트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크레디 아그리콜, 크레디트스위스, JP모건, 모건스탠리도 올 12월 금리 인상을 시작해 내년 중 4차례에 걸쳐 각 0.25%포인트씩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의 0∼0.25%에서 내년 말 1.25∼1.50%로 상승하게 된다.
BNP파리바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바클레이즈, 소시에테제네랄 등 4곳은 연준이 12월 금리 인상에 착수한 뒤 내년 중 3차례에 걸쳐 1.00∼1.25%로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김보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