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에 금융위와 건설업계 갈등
금융위원회가 내놓은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에 대해 건설업계가 반발, 갈등이 예상된다.
1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삼성물산, 현대건설 등 25개 주요 건설회사는 금융위가 지난 10월 발표한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의 개정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지난달 27일 금융위와 금융감독원, 국회 정무위원회 등에 제출했다.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이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 수주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이유에서다. 건설업계가 반발하는 내용은 주요 사업장별 주요정보 공개와 핵심감사제(KAM)의 도입이다.
건설사들은 탄원서를 통해 "주요 사업장별로 공사진행률·충당금·미청구공사 등을 공개할 경우 공사원가(원가율) 추정이 가능해진다"며 "이는 곧 원가 정보가 외국업체에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 해외 공사 수주에 타격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핵심감사제 도입을 미루고 건설·조선업종 외 다른 업종에도 이 제도를 동시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핵심감사는 외부 감사인이 회계 감사를 진행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부분을 장문의 형태로 상세히 기술하는 것이다.
반면 금융당국은 제고방안 마련 과정에서 간담회를 여러 차례 진행했고, 건설업계 주장의 일부는 이미 반영됐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측은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 태스크포스를 구성한 뒤 업계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비롯한 실무자를 불러 5차례 간담회를 열었고, 마지막 두 차례 회의에서는 완성된 방안까지 설명했다"며 "당시에는 이 방안에 수긍하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다.
또 개선안은 공사 손익변동내역을 각 사업장 대신 '인프라, 건축, 플랜트' 등 부문별로 나눠 공시하도록 했다. 이는 사업장별로 공시될 경우 영업기밀 유출이 우려된다는 업계의 요구로 인한 것이다.
금융위는 탄원서가 접수된 만큼 요구 사항을 살펴보고,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기존에 발표한 개선안을 예정대로 실시할 방침이다.
정도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업 정보가 공개돼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을 따지기 이전에 의사 결정할 수 있는 회계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청년공인회계사회를 이끄는 이총희 회계사는 "적자가 나는 원가 정보라면 진작 공시해서 위험을 알렸어야하는데 덮어놓고 쉬쉬하다 문제를 키운 것"이라며 "기존 제도에서 문제를 일으킨 것은 건설업계인데 국민들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