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금자동지급기(CD)와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 자동화기기를 통한 금융사기 피해금 인출이 서울 영등포구와 구로 등 역세권이나 이주노동자 밀집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서울·경기·인천·대구 내 33개구를 취약지역으로 지정하고 ATM 전담 보안관을 지정하는 등 밀착 감시에 나설 예정이다.
8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 전기통신 금융사기 피해자금 인출 경로를 분석한 결과, 서울과 경기, 대구, 인천 지역 CD기와 ATM기를 통한 사기 피해금 인출 비중이 95.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 서울지역은 총 25개구 가운데 15개구에서 20건 이상의 피해자금 인출이 발생했다. 이중 영등포구와 구로구, 종로구, 관악구 등 4개구는 인출건수가 100건을 웃돌며 서울 전체 인출건수의 45.1%를 차지했다.
경기도는 31개 행정구역 중 10곳에서 20건 이상의 사기 피해금 인출건수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50건 이상의 다량인출 건수를 보인 곳은 안양, 수원, 시흥, 안산, 고양, 부천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사기 피해금 인출건수가 20건 이상 발생한 곳은 인천광역시 부평과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포함한 3개구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의 공통점은 역세권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거나, 외국인 근로자 등이 밀집한 지역이란 점이다. 이주노동자들은 높은 은행송금 수수료, 기일 소요, 언어소통 문제 등을 이유로 은행 대신 수수료가 저렴하고 신분 확인이 느슨한 개인환전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개인환전소가 난립하면서 보이스피싱 등 범죄자금의 불법송금(환치기) 창구로 악용되는 점이다.
금감원은 앞으로 무인점포로서의 CD기와 ATM기에 대한 관리책임을 강화할 방침이다.
인출책의 인상착의, 행동특성 등 주요특징을 분석해 금융회사 간 공유하는 한편 취약지역을 주기적으로 분석해 공개하기로 했다.
또 서울과 경기, 대구, 인천 지역의 피해자금 인출이 빈번한 33개구를 취약지역으로 지정하고 밀착 감시할 예정이다.
경찰청·한국은행 등 유관기관과 공조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은행에 범죄다발 환전상에 대한 상시감시 강화를 요청하고, 범죄자금을 인지하고도 환전한 경우 공범으로 고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전히 금융사기 피해금의 92%가 금융권 자동화기기를 통해 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취약지역 지정을 비롯해 경찰청과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 협조를 통해 금융사기 자금 인출을 끝까지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