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이광구 우리은행장의 인사

박승덕 파이낸스&마켓부장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워커홀릭이다. 꼼꼼하고 철저하다. 그와 함께 일했던 사람들의 기억이다. 이 행장을 부장으로 모셨던 A씨는 한 번도 퇴근 시간에 집에 간 적이 없다고 회고했다. 야근의 연속이었단다. 퇴근 시간에 자리를 비운 그는 오후 9시나 10시에 꼭 사무실에 나타났다. 그리고 퇴근 전에 지시한 일을 점검했다. 빨간펜을 들고 후배들이 작성한 리포트를 챙기며 잘못된 점을 지적했다. 그는 하루 일과를 시간이 아니라 분 단위로 쪼개 썼는지 모른다. 저녁 시간. 그는 밖에서는 손님을 모셨고, 회사에 돌아와서는 일과 후배를 챙겼다. 후배들은 힘들었다. 하지만 늦은 밤 회사에 항상 나타나는 선배를 존경했다. 그래서 미워할 수 없는 선배였다. 과거 권위적인 선배가 일을 지시하고 다음날 아침까지 모습을 감췄던 것과는 달랐다. 언제나 회사를 거쳐 퇴근하는 스타일이었다. 몸은 힘들었지만 일한 보람을 느끼는 후배들이 많았다.

그러던 그는 어느 날 본부장이 됐고, 상무를 건너 뛰어 부행장으로 승진했다. 또 1년 전 2만명에 가까운 조직의 수장 자리에 앉았다. 조직내에선 깜짝 놀란 만한 인사였다. 이순우 전 회장의 '오른팔'로 통했던 그였기 때문이다.

이광구 행장. 그가 최근 야심찬 인사를 했다. 예정보다 빨리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인사를 앞두고 어수선한 조직을 다잡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예상했던 시기보다 빠르게 임원인사를 냈다.

그는 인사를 앞두고 고민했다. 2년의 임기를 과오없이 끝내기 위해선 안정이 필요했다. 확 바꾸고 싶었다. 하지만 상무들로는 입지가 약해질 것 같았다. 그래서 부행장 전원교체 대신 6명 중 4명을 바꿨다. 특히 한 명은 꼭 지우고 싶어했다는 후문이다. 인사가 생각대로만 되진 않았다. 우리은행의 대주주는 정부였다는 것을 간과했다. 멀리하고 싶은 사람을 곁에 뒀다.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합병한 우리은행이다. 그리고 채널·지역을 감안해야 하는 조직이었다. 이 행장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누군가를 '2인자'로 둘 순 없었다. 살리는 대신 '3권 분립'을 택했다. 영업·국내·해외 그룹장 세부문으로 나눠 평등하게 권력을 나눴다. 고육지책이었다.

부행장급 인사에 골몰했던 이 행장은 나머지 상무급 가운데 믿을맨만 남겼다. 그리고 남은 임기를 안정적으로 가져가기 위한 인사를 택했다. 설왕설래가 많은 사람도 앉혔다. 어차피 1년 남은 임기 때문에 무리수를 두기 어려웠다.

전 행장의 연임이 무르익을 무렵, 대주주(?)는 측근을 통해 "꼭 연임해야 하나요"라고 반문했다. 측근은 당황했다. 평판과 실적이 아무리 좋더라도 '연임은 없다'는 대원칙이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그렇다. 이 행장도 연임은 없다. 앞으로 남은 임기는 360여일이다. 변화를 꾀하기엔 부족한 시간일 수 있다. 그래서 부족한 임원을 곁에 두고 있는 지 모른다.

많은 눈들이 지켜본다. 부족한 선배, 못난 선배, 평판이 안좋은 선배, 윗사람에게만 잘하는 선배가 건재하다. 이 행장의 이번 인사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부채가 없는 이 행장이다. 챙겨줄 사람도 많지 않다. 어차피 일로 사람을 평가한 이광구 행장이 아닌가. 그렇다면 과감성이 필요했다. 안정보단 개혁이 필요했다. 1년, 짧다면 짧은 시간이다. 하지만 의지만 있다면 더 과감한 인사개혁도 가능했다.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수 있었다. 조직의 새로운 기운은 인사에서 비롯된다. 조직 인사는 언제든 단행할 수 있다. 부디 후배들이, 우리은행을 사랑하는 조직원이 바라는 인사를 기대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