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19곳' 추가 선정
은행권 추가 적립 충당금 1조5000억원
올해 총 54개의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금융권 신용 공여액은 총 19조6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5년도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12월 중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중 368개사에 대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19개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됐다.
올해 상반기 선정된 35곳을 합하면 총 54개 기업으로, 이는 지난해보다 20개나 늘었고 2010년 65개 이후 최대 규모에 달한다.
양현근 금감원 부원장보는 "잠재적인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제적으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선정했다"며 "상반기 정기평가 때보다 선정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해 여신규모가 큰 조선 업종 등이 포함되면서 신용공여액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통상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1년에 한 차례 이뤄지지만, 올해는 한계기업을 신속히 구조조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면서 하반기에 수시 평가를 추가로 실시했다.
신용위험도는 A~D의 네 등급으로 나뉜다. 이 중 C등급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D등급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대상으로 분류된다.
지난 7월 발표한 상반기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는 C등급 16곳, D등급 19곳 등 35개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선정됐다.
이번에 추가로 선정된 19개사 중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을 받은 기업은 11개, 부실기업인 D등급을 받은 기업은 8개다. 19개 중 상장사 3곳이 포함됐다.
양 부원장보는 "C등급을 받은 11개 기업 중 4개는 이미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 중 업종별로는 건설이 14개사로 가장 많았다. 철강은 11개사, 전자는 8개사, 조선은 4개사로 뒤를 이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54개사의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9조6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 중 지난 11~12월 수시 신용위험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19개사의 신용공여액이 12조5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들 기업 구조조정 추진으로 은행권이 추가로 적립해야할 대손충당금은 1조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양 부원장보는 "금융권의 손실흡수 여력 등을 감안하면 이번 결과가 금융회사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충당금 증가에 따른 은행권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 하락폭은 0.1%포인트(13.99%→13.89%)에 불과할 것이란 설명이다.
금감원은 C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금융기관 주도의 워크아웃을 통해 신속한 금융지원과 자구계획 이행을 추진하는 한편 D등급 기업은 추가적인 금융지원 없이 자체적인 정상화를 추진하도록 하거나 법정관리 신청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 이번에 C~D등급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구조조정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업체 중 자구계획을 진행 중인 23개사는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으로 분류할 방침이다. 이후 이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개선계획 불이행시 수시 평가 등을 통해 조치해나가기로 했다.
금감원은 내년 1월 중 신용평가사와 회계법인 등 외부전문기관과 공동으로 이번 신용위험평가에 따른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에 대해 현장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