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NH농협은행 이경섭호 출범…"고객 밀착은행으로 일류은행 도약"

이경섭 NH농협은행장이 4일 서울 중구 농협은행 신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NH농협은행 제공



수익성·건전성 개선, 새로운 수익구조 창출 등 과제 산적

"고객 자산·리스크 관리, 사회공헌 등으로 '신뢰' 얻을 것"

이경섭 제3대 NH농협은행장이 4일 취임했다.

이 행장은 취임사를 통해 "출범 5년차를 맞는 농협은행은 일류은행으로 비상하느냐, 삼류 은행으로 추락하느냐의 기로에 서 있다"며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일류 농협은행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행장은 서울 중구 농협은행 신관 대회의실에서 취임식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임기는 오는 2017년 12월 31일까지다.

이 행장은 농협은행이 나아갈 방향으로 ▲개개인의 역량 제고 ▲경영 패러다임 변화 ▲잘하는 분야에 집중 ▲농협의 강점 강화 ▲은행의 기본원칙을 지킬 것 등을 제시했다.

그는 농협은행의 생산성이 경쟁은행에 비해 낮다는 점을 꼬집고 "직원 개개인이 전문가가 돼 적재적소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 영업본부의 비효율, 중간만 하자는 적당주의, 연공서열과 지역안배, 느리고 둔한 조직문화 등을 타파하고 경영 패러다임을 은행답게 바꾸겠다"고 역설했다.

핀테크(Fintech) 등 신사업 분야에 대한 포부도 밝혔다.

이 행장은 "경쟁력 있는 부문에 자원을 집중 투입해 핵심 수익원으로 육성하고 그렇지 않은 사업은 무리하게 추진하는 우를 범하지 않겠다"며 "자산관리, 핀테크, 글로벌 등 성장 가능성이 있는 신사업 분야는 적극적으로 도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잘 갖춰진 금융지주 체제를 기반으로 중앙회, 유통사업과의 시너지 창출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 고객의 자산관리, 리스크관리, 사회공헌 등이 은행의 기본이라고 설명했다.

이 행장은 "은행의 기본원칙에 충실하다보면 고객으로부터 '신뢰'라는 값진 자산을 얻을 수 있다"며 "일류 은행이 되고자 하는 비전을 위해 직원 모두의 마음을 모아 하나하나 실천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금융권에서는 이 행장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이 행장 앞에는 수익성과 건전성 개선, 해외시장 개척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지난해 3·4분기 농협은행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4316억원으로 경쟁 시중은행보다 한참 뒤쳐진다. 특히 3·4분기 실적(1308억원)만 놓고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나 감소했다. STX조선해양 등 부실 여신기업과 관련된 부실채권 정리 문제도 농협은행의 발목을 잡고 있다.

농협 내에서는 '전략통' 또는 '기획통'으로 알려진 이 행장에 거는 기대가 크다.

이 행장은 1986년 농협중앙회에 입사해 구미중앙지점장, PB사업단장, 중앙교육원장, 서울지역본부장 등을 거쳤고, 2014년 1월부터는 농협금융지주로 자리를 옮겨 부사장(경영기획 담당)을 지낸 정통 농협맨이다.

특히 농협금융 부사장 재임시절에는 금융권 최초로 복합금융점포를 개설하고 우리투자증권 인수 및 농협증권과의 통합추진위원장을 맡아 국내 최대인 통합 NH투자증권을 출범시키는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이 행장은 대표적인 전략통으로 의사결정이 정확하고 빠르며, 농협중앙회와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제 구축에도 탁월하다는 평이 나 있다"며 "농협은행의 새로운 수장으로 어떤 그림을 그려 나갈지 임직원 모두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