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10년간 5조원 투입해 자율주행차 시대 연다
자율주행차 모델을 개발 중인 구글 직원들의 모습. 사진=유튜브
>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미국 정부가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향후 10년 동안 예산 40억 달러(약 4조 8천억 원)를 지출하고 관련 규정 개정에 나선다고 연합뉴스가 미국 ABC뉴스 등을 인용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앤서니 폭스 미국 교통부 장관은 14일(현지시간)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미국 정부가 자율 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내년 예산안에 40억 달러 지출을 포함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는 자율 주행차 발전이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고 환경 보호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이런 지출 계획을 마련했다.
정부와 제조업체는 자율 주행차가 인간의 실수로 벌어지는 치명적인 교통사고의 94%를 예방할 수 있고 차량정체 해소와 배출가스 감소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당국은 자율 주행차가 실제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조업체에 2천500대가량의 자율 주행차에 대한 규정 예외 사항을 허가할 예정이다.
폭스 장관은 자율주행차 도로 주행 시험을 정부가 지원하겠다는 내용 이외에 구체적인 예산 사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다음 6개월 안에 새로운 정책안을 내놓아 제조업체들이 최상의 개발 환경을 만들겠다고 약속하며 제조업체에 적극적으로 법적 면제를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별도로 존 튠(공화·사우스다코타) 미 상원 상무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공개해 의회와 오바마 행정부가 차량 자동화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동안 구글을 비롯한 자율 주행차 제조업체들은 연방 도로 안전법이 주행시험과 궁극적인 개발을 막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번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 움직임에 제조업체들은 일제히 지지를 보냈다. 자동차 제조업체 GM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기준에 맞게 정부와 함께 일하는 데 헌신한다"고 밝혔다. 구글 자율주행차 사업부 최고경영자(CEO)인 존 크래프칙은 "좋은 길들은 깨끗한 포장과 가드레일을 필요로 한다"며 "폭스 장관의 발표는 이런 것들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