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수' 만에 차기 농협중앙회장에 뽑힌 김병원호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병원 차기 회장이 이번 선거 과정에서 농협경제지주 폐지와 중앙회장 선출 직선제 전환 등 농협법 개정 추진을 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정부는 10년 동안 논의된 경제지주제를 밀고 나갈 태세다. 이에 따라 김 차기 회장이 농협중앙회는 물론 담당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도 마찰이 예상되고 있다.
김 차기 회장의 주요 공약은 ▲농협경제지주 폐지(1중앙회 1금융지주 체제로 전환) ▲중앙회장 선출 직선제 전환(다수득표제 도입) ▲중앙회 상호금융부서의 독립법인화(가칭 상호금융중앙은행) 등이다.
가장 민감한 것은 농협경제지주 폐지다. 농협금융지주에 이어 농협경제지주는 이미 설립작업이 진척돼 내년 초 정식으로 출범 예정이다.
그러나 김 당선자는 선거 과정에서 정부의 '1중앙회-2지주회사' 제도는 농민의 이익에 반하는 정책이라며 '1중앙회-1금융지주' 체제로 가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지역 농협조합장들은 농협경제지주가 설립되면 지역 농협과 사업 경쟁이 불가피해 규모가 작은 지역농협이 피해를 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농협경제지주 폐지는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농협 조직을 효율화하기 위해 지난 10년 동안 노력해온 결과를 흘려보낼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국회에서의 농협법 개정을 통해 농협경제지주 설립이 결정된 만큼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김 차기 회장이 현실적인 검토를 거쳐 공약을 '수정'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중앙회장 선출 직선제 전환도 현실화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직선제 이후 대부분의 중앙회 회장이 구속되거나 비리 의혹을 받는 등 직선제의 폐해 때문에 바뀐 제도가 간선제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김 당선자가 농협법 개정이 필요한 농협경제지주 폐지를 밀어 부칠 경우 상호금융 독립법인화 공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김 차기 회장은 조합장의 위상을 강화하고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조합장 특별 퇴직공로금제 실시 ▲조합장의 중앙회 계열사 경영참여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김문호 기자 k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