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자국 경제가 악화되는 가운데 대규모 자본 유출 사태가 이어지자 시중에 73조원을 푸는 초강수를 뒀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고, 경제 회복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의 대응 미숙이 연쇄 증시 급락 사태를 낳고 있다고 보고 있다.
21일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인민은행이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거래로 시장에 총 4000억 위안(약 73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했다며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유동성 공급 규모에서 3년만에 최대라고 전했다. 4000억 위안은 28일짜리 역레포 2900억 위안과 7일짜리 역레포 1100억 위안을 합한 금액이다.
앞서 인민은행은 지난 19일 6000억 위안(약 110조원) 규모의 유동성 투입 계획을 밝히며 설 연휴 이전까지 역레포로 유동성 공급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이는 같은날 발표된 지난해 중국 성장률을 의식한 조치다. 지난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6.9%로, 25년만에 바오치(성장률 7%) 시대가 막을 내렸다. 특히 4분기 성장률은 6.8%로, 갈수록 중국 경제가 하락세를 나타냈다. 인민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유동성 공급에 나선 것이다.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규모가 큰 것은 중국에서 대규모 자본이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제 악화 현상이 뚜렷해지자 투자자들은 경쟁적으로 자금 회수에 나섰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해 중국에서 590억 달러(약 72조원)가 빠져나갔다고 보고했다. 이로 인해 신흥국들까지 자본 유출 사태를 맞으면서 중국으로 인한 신흥국 자본 유출 규모는 모두 7350억 달러(약 891조원)에 달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은 지난해 4분기부터 대외부채를 신속하게 상환해 자본 유출을 앞당겼다는 분석이다.
중국 내 자본 유출은 위안화 약세로 인해 심화되고 있다. 위안화 약세는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와 중국의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함께 작용한 결과다. 중국 인민은행은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위안화를 방어하느라 대규모의 외환을 소모했다. 지난 6개월 동안 중국 외환보유고는 3조8000억 달러에서 3조3000억 달러로 급격히 줄었다. 5000억 달러(약 606조원)를 소모한 것이다. 최대 외환보유국이라도 감당하기 힘든 소모 속도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인민은행의 대응에 대해 불신이 깊은 상황이다. 전날 전세계 증시는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 인하보다 강도가 약한 중단기 유동성 공급에 그칠 것이라는 실망감에 동반 폭락해, 2013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직 국제결제은행(BIS) 수석연구원인 윌리엄 와이트는 FT에 "중앙은행들이 거시경제의 하락을 막을 수 있는 탄약을 모두 소진했다. 금융 위기 이후로 계속해서 늘어난 빚이 더욱 큰 해를 끼칠 원인으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역레포(역환매조건부약정)란?
시장에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시중에 유통되는 채권을 매입해 자금을 공급하는 방안이다. 환매조건부약정과는 반대로 중앙은행에 채권을 파는 금융사는 일정 기간이 지난 뒤 해당 채권을 다시 사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중앙은행은 약정된 기간만큼 시중에 자금을 공급한 뒤 유동성을 회수해 시중 금리를 관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