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10일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함에 따라 입주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 마련에 나선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해 "관련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충분한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임 위원장은 개성공단 중단에 따른 기업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해당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존 대출에 대해서는 상환유예와 만기연장 등을 해주고 금리·수수료 우대 등을 통해 기업의 자금 부담을 완화해줄 것을 당부했다.
금융위는 우선 개별 기업별로 주채권은행과 정책금융 기관이 1대 1 방식의 맞춤형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산은, 기은, 수은, 신보, 기보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이 오는 11일 개성공단기업 특별지원반을 구성, 국무조정실 주관의 정부합동대책반과 함께 지원대책을 강구한다.
일시적 자금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기보 등 정책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긴급 안정자금지원 등 신규 자금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임 위원장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 불안과 관련해 "유럽, 일본, 중국, 미국 등 주요국의 금융상황이 우리 증시나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대응방안을 강구하겠다"며 "투자자들도 현 상황에 대해 지나친 불안감을 갖기 보다 중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차분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9.11 테러, 글로벌 금융위기 등 다양한 위기를 경험하면서 축적된 비상대응계획 등 메뉴얼을 보유했지만 앞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불확실하다"며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증시 수요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추가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강구하는 등 비상대응계획을 보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