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은행권 예금금리 인하
대출금리 1월 기준 연 3.28%…석 달 연속 상승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인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시중은행들이 정기예금과 적금 등 수신금리를 낮추고 있다. 반면 대출금리는 석 달 연속 상승 추세여서 내집마련을 꿈꾸는 서민과 이자생활자들의 고민이 늘고 있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수신금리를 0.1%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주력상품인 '국민수퍼정기예금' 3년 만기상품은 연 1.5%에서 1.4%로, 'KB말하는 적금' 3년 상품은 연 2.0%에서 1.9%로 낮아졌다. SC은행도 2일부터 '두드림통장'과 '두드림2U통장'의 수신금리를 0.3%포인트씩 내린다.
KEB하나은행은 지난달 24일 정기예·적금 금리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1년 만기 일반 정기예·적금의 기본금리는 기존 1.3%에서 1.2%로 0.1%포인트 내렸다. '행복투게더 정기예금' 금리(1.3%)와 '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 금리(1.3%)도 각각 0.1%포인트, 0.05%포인트 낮아졌다.
[b]◆한은 금리인하 여부에 쏠리는 눈길[/b]
이러한 수신금리 인하 움직임은 한은의 금리인하 결정에 대한 기대감에서부터 비롯되고 있다. 한은은 지난달 16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 수준으로 동결하기로 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014년 8월과 10월, 지난해 3월과 6월 각각 0.25% 포인트씩 내린 이후 8개월째 동결된 상태다.
하지만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금통위원들이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한 반면 최근 금통위에서는 하성근 금통위원이 금리를 0.25%포인트 내려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내면서 금리인하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미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빠르면 3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1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8.5% 급감했고, 2월 수출도 12.2% 감소하는 등 경기 둔화가 지속되면서 재정과 통화의 정책공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동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점차 완화되고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 중국인민은행(PBOC)이 추가 통화완화에 나서면서 한국은행도 3월 한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등 다른 시중은행은 한은의 3월 금융위 회의 이후 수신금리 인하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b]◆조달금리 떨어져도 대출금리는 '부동'[/b]
이에 반해 가계 대출금리는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은행의 '2016년 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금리는 연 3.28%(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0월 3.06%까지 떨어졌다가 11월 3.16%, 12월 3.23%로 오른데 이어 석 달 연속 올랐다.
가계 대출금리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1월 3.1%로 12월 3.12%에서 0.02%포인트 떨어졌다. 그러나 집단대출(2.98%), 보증대출(2.98%), 일반신용대출(4.56%)은 전월보다 각각 0.1%포인트, 0.07%포인트, 0.09%포인트 상승했다.
은행에선 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으로 CD(양도성예금증서)금리,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금융채금리를 이용한다. 여기에 재무상태가 취약한 개인이나 기업에 대하서는 더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한다.
은행들은 한은의 기준금리가 8개월 연속 그대로 유지돼도 시장(조달)금리가 상승해 대출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었지만 지난 1월에는 조달금리가 떨어졌는데도 대출금리는 올랐다.
실제로 은행들의 조달금리인 CD금리와 금융채 금리는 지난해 11월과 12월 연속 상승했다가 지난 1월 하락 반전해 CD금리와 금융채 모두 전월대비 각각 0.07%포인트 내렸다. 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도 전월 대비 0.07%포인트 내린 1.65%로 네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윤석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회사들이 리스크에 맞서 자산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용등급이 낮은 소비자에게 가산금리를 적용하고 있다"며 "다만 가산금리 인상은 대출자에게 부담이 과하게 전가되지 않도록 최대한 공정하고 객관적 근거에 입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