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주요 은행 주담대 351조 규모…증가세 둔화
대출심사 강화 전 당겨 받아…작년 말 대출 증가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달 1일부터 시행된 수도권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대폭 둔화된 것.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IBK기업은행 등 6대 시중은행의 2월 말(26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51조177억원으로, 1월 말(350조3836억원)보다 6341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년 동기 증가분인 3조2782억원의 20% 수준에 그친다. 또 2014년 2월(1조1792억원)과 2011년 2월(1조5964억원) 증가분보다도 작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시행된 가계부채 관리방안의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정부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에 따른 가계부채 관리방안은 주택구입용으로 대출을 받을 때 소득심사를 깐깐하게 적용, 초기부터 원금과 이자를 모두 나눠 갚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초 올해 1월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주택경기 등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시행이 한 달 미뤄졌다.
◆2월 대출 감소…작년 대출 쏠림현상 원인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관리방안 시행 전 대출수요가 몰린 점이 주효했다고 분석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애초 올해 1월 시행예정이었기 때문에 주택 구입을 앞둔 고객이 서둘러 대출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2월 한 달은 과거와 비교하면 대부분 지점의 대출창구가 한산한 편이었다"고 전했다.
이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도 "가계부채 관리방안은 작년부터 예고된 것으로, 신규 주택 구입자는 미리 대출을 받아 지난달 신규 대출이 많이 줄었을 것"이라며 "특히 2014년 하반기부터 LTV(주택담보대출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완화된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한 점을 보면 수도권부터 적용된 관리방안의 영향이 증가세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4·4분기동안 증가한 가계부채는 41조1000억원으로 이에 따른 가계부채 총량은 1207조에 달한다. 특히 주담대 규모는 24조8000억원이 늘어난 650조8000억원을 기록, 전체 증가한 가계부채 중 주담대 증가분이 60.3%를 차지했다.
◆부동산 경기 둔화도 대출 증가세에 영향
최근 부동산 경기가 다소 둔화된 것도 대출 증가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지목된다.
실제로 한국감정원의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월 15일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가파르게 상승하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달 86주 만에 0.01% 하락 전환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금리인상 및 대출규제 강화로 대출 부담이 적은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 거래는 증가한 반면 아파트 거래량은 감소하고 있다"며 "특히 청약시장에서 천안, 김포 한강신도시 등 미달단지가 증가하는 등 매수심리가 위축되며 2014년 6월 이후 86주 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가계부채 구조는 은행권 분할상환·고정금리 중심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며 "가계대출이 주택 실수요자 중심으로 늘어나면서 주택시장을 정상화시키고 실물경제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서민들의 부채 부담을 덜기 위해선 현재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가계의 지속가능한 소득 증대는 결국 일자리의 문제로 연결되기 때문에 경제 활성화와 함께 구조개혁을 이뤄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