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이 10일 '북한 사이버 테러 대비 금융권 대응현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발언하고 있다./금융위원회 제공
금융당국, 北사이버테러 대응현황 점검회의
금융당국이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비해 금융권의 대응태세를 점검했다. 아직까지 피해사례는 없지만 금융사 책임으로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대표이사를 문책하는 등 엄격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10일 금융위원회는 정은보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한국거래소, 코스콤, 16개 은행 보안 최고책임자 등과 함께 '금융권 대응현황 점검회의'를 열고 북한 사이버 테러 위험에 대한 현황을 살폈다고 밝혔다.
현재 금융당국은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금융전산위기 경보를 3단계인 '주의'로 격상한 상태다. 아울러 금융보안원을 중심으로 관제요원을 증원하고 전산시스템에 대한 일일점검을 강화하는 등 사이버 테러 위험에 대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또 지난달 23일까지 주요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한데 이어 최근 16개 대형 금융사를 대상으로 추가 실태 점검을 벌이고 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북한은 최근 정부 안보라인 주요 인사들의 스마트폰을 해킹하고 대규모 사이버 테러를 준비하는 정황이 포착됐다.
금융보안원은 이날 "최근 보안업체 해킹 사고 이후 금융회사에 대한 사이버 테러 여부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별다른 피해 사례는 없다"고 보고했다.
금융보안원은 지난달 국내 주요 금융기관에 인터넷뱅킹용 보안소프트웨어(SW)를 납품하는 업체의 전자인증서가 북한의 해킹으로 탈취된 사실을 확인하고 긴급 보안조치를 취한 바 있다.
정 부위원장은 "금융권 사이버 보안은 사고 발생시 피해 대상과 피해 규모가 여타 분야에 비해 월등히 크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다"며 "보안업체 해킹 등 최근 발생한 신규 보안위협에 대비한 자체 점검에 만전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금융보안원을 중심으로 사이버테러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 및 침해위험에 대한 신속한 정보공유·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현 상황의 엄중함과 금융권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금융회사의 책임 있는 사유로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표이사 문책 등 엄격하게 책임을 물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