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자산관리] 노후를 디자인하라
연령대별 은퇴시점 고려, 현실적인 자금마련 계획 필요
전문가 "돈 모으되 생활비 줄이고 건강관리 병행해야"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노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은퇴 후 평균수명은 과거 10년 안팎에서 현재 30년 이상으로 크게 확대됐다. 국어사전은 은퇴를 '사회 활동에서 손을 떼고 한가히 지냄'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의 은퇴는 제2의 인생을 설계해야 하는 출발선과도 같아졌다.
올해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 중 '노후준비 부족'이 전체 비중 가운데 28.8%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이어 '자녀양육·교육'(21.9%), '일자리부족'(20.2%), '주택문제'(19.1%) 순이었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은 "'노후준비 부족'이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장애물로 파악됨에 따라 주택을 담보로 한 '주택연금'(역모기지) 활성화, 다수의 고령자들이 모여서 함께 생활할 수 있는 밀집형 공공임대아파트 등 노후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생애주기별로 다른 노후준비
은퇴 후 삶은 현재의 행복지수에도 영향을 미칠 만큼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행복한 노후'를 위해 연령대별로 은퇴시점을 고려해 체계적인 자금마련 계획을 세울 것을 권한다.
이윤학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소장은 20~30대 젊은이에게는 다음과 같은 '3·3·5·5' 원칙의 투자법을 소개했다.
노후준비는 늦어도 30대부터 시작할 것. 총 자산의 30%를 연금으로 구성할 것. 총 자산의 50%는 금융자산으로 보유할 것. 끝으로 금융자산의 50%는 연금자산으로 보유하는 방법이다.
중장년층에게는 퇴직 후 30여년의 시간을 연금으로만 충당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퇴직 후에도 계속 일을 하라고 조언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평균 퇴직연령은 남성 53세, 여성 48세다. 하지만 대다수가 퇴직 후 재취업이나 창업 등으로 소득을 창출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퇴직연령은 70세 정도다.
이 소장은 "저금리·저성장 시대에선 양질의 일자리를 기대하는 것은 힘들지만 몸에 무리가 가지 않고 즐길만한 정도의 적당한 일을 찾으라"며 "급여가 매월 150만원이라면 이는 20억원의 자산에 대한 이자와도 맞먹는 가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제2의 인생…비재무적 설계 필요
인생 제2막을 시작하기 위한 자금은 필수요소다. 노후자금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빚 관리'와 '건강'이다. 깨진 항아리에 물을 부으면 소용이 없듯 불필요하게 새는 돈을 줄여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현기 신한금융투자 NEO50 연구소장은 "산업화 시대와 함께 고성장을 경험한 이들이 소비에 익숙해져 '빚'에 과도하게 노출돼있지만 저성장 시기에 와서도 소비습관을 그대로 간직해 자산리스크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리 수준에 따라 △2000년대 이전 금리 10% 이상의 시대는 '저축의 시대' △2000년 이후 금리 3~10% 시기는 '투자의 시대' △2013년부터 현재 금리 3% 이하 저금리 시대를 '지키는 시대'로 나누고 "빚 관리만 잘해도 재무설계의 50%는 해결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건강, 사랑, 취미, 웰 다잉(well-dying) 등 비재무적 노후준비를 병행할 것을 권했다.
김 소장은 "명함 있는 노후생활을 디자인하라"며 "은퇴 후에도 자신에게 스스로 부여한 '역할'과 '호칭'이 노후에 주어지는 30여년의 시간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