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금융권 성과주의, 절충안 찾아야



금융권의 성과주의 도입을 둘러싸고 노사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최근 7개 금융 공기업은 금융노조가 성과주의와 관련해 논의를 거부하자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를 탈퇴하고 개별적으로 성과연봉제 도입안을 마련하기에 나섰다. 어느 때보다 대화가 필요한 상황에 서로 등을 돌린 셈이다.

정부는 '무임승차자'를 솎아내고 일 잘하는 직원이 우대받을 수 있도록 성과중심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공기업을 포함한 120개 공공기관의 경우 오는 6월까지, 준정부기관은 12월까지 성과연봉제 도입을 완료할 계획이다.

금융권에서 우선적으로 시험대에 오른 곳은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9개 금융 공공기관이다. 임금체계 뿐만 아니라 승진 등 인사에도 개인성과를 철저히 연계, 직원 교육 및 영업형태에까지 성과중심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세부방안을 마련 중이다.

노조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성과연봉제가 저성과자 퇴출 등 '쉬운 해고'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또 성과주의가 일 잘하는 사람에게 더 많은 보상을 주기 위함이라면서 '어떻게 공정하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실종됐다고 주장한다.

금융권 한 종사자는 "성과연봉제야말로 '찍퇴(찍어서 퇴직)'로 악용되기 좋은 제도"라며 "회사에 밉보이면 '저성과'란 죄를 씌워 전출을 보내며 퇴직을 종용해도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업무별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이 애매하다는 것도 문제다. 영업직을 제외한 직원들의 성과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진다. 기준이 애매한 성과주의는 오히려 조직 내 효율성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성과주의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던 이들은 하나같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입될 것"이라고 했다. '정부가 밀어붙이는데 안 되겠느냐'는 뜻에서다.

금융당국과 사측은 노조의 일방적인 대화 거부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한다. 그렇다고 '밀어붙이기 식'으로 성과주의를 추진해선 노동계의 불신만 키울 것이다. 성과중심 임금체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 절충안을 찾으려는 노력을 멈춰서는 안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