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4월 금융개혁 기자간담회 브리핑을 하고 있다./금융위원회 제공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비수도권에 은행권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예정대로 5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6일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2월부터 수도권에 적용되고 있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연착륙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은행권은 앞서 지난 2월 대출 시 소득심사를 강화하는 내용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수도권부터 적용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에 신규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분할상환 비율은 수도권은 72.8%, 비수도권은 70%로 나타났다. 고정금리 대출 비중도 같은 기간 수도권은 70.7%, 비수도권은 72.1%다.
또 지난달 금융감독원이 여신심사 가이드라인과 관련해 실시한 비수도권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87%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인지하고 있었고 82%는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임 위원장은 "이미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빌리고 처음부터 대출금을 갚는 관행이 정착하고 있다"면서 "설문조사에서도 비수도권이 제도 시행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주택담보대출 시장의 급격한 위축은 없다고 분석했다. 올해 1분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9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11조5000억원보다 15% 정도 감소했다.
임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이미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이 많았다"며 "6개월 정도 기간을 비교해보면 감소폭은 5% 수준으로 급격한 주택담보대출 감소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임 위원장은 새누리당의 '한국형 양적완화' 공약에 대해서는 "선거를 앞두고 정부가 공약사항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그는 "선거 이후에도 한국형 양적완화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생각을 밝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