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설탕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에 따라 식품업계는 나트륨에 이어 설탕 함량까지 조정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7일 '제1차 당류저감 종합계획(2016~2020)'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 우유를 제외한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하루 열량의 10%는 2천㎉를 섭취하는 성인 기준 200㎉가 된다. 이를 당으로 환산하면 50g으로 무게가 3g인 각설탕 16.7개와 맞먹는다.
정부는 식습관 개선을 위해 당류와 관련한 영양표시를 강화하고 당류를 줄이는 레시피를 개발할 계획이다.
식약처가 당류 섭취를 10%로 규정한 것은 가공식품에서 당류 섭취량이 하루 열량의 10%를 초과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비만 위험이 39%, 고혈압은 66%, 당뇨병은 41% 각각 높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지난 2013년 기준 가공식품을 통한 한국인의 당류 섭취량은 하루 44.7g으로 총열량의 8.9% 수준이다. 아직 기준치 이내를 유지하고 있지만 당류 섭취량은 매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총열량 대비 가공식품 당류 섭취량 비율은 2010년 7.6%에서 2013년 8.9%까지 높아졌다.
식약처는 음료류, 과자류 등 100개 품목에 당류 성분 함유량을 표기하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외식업체도 예외가 아니다. 커피전문점의 메뉴에도 자율적으로 당류 표시를 유도할 계획이다.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는 학교 내 커피 자판기 설치를 금지하고 학교 매점에서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판매를 제한할 수 있도록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을 비롯한 관련법률 개정도 추진한다.
그러나 당류에 대한 엄격한 관리지침을 밝힌 식약처는 설탕세 도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식약처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설탕세 도입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국민의 섭취 수준을 조사한 결과 WHO나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이드라인에 아직 못 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당류 관리에 나서자 식품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식품업계는 국민의 건강을 위해 당류저감에 나서는 것에는 공감하지만 소비가 위축될 것을 우려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같은 제품에서 당을 줄이면 제품 본연의 맛이 달라지게 마련"이라며 "이 경우 기존 맛에 익숙한 고객들이 등을 돌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류 비중을 표시할 경우 비중이 높은 제품이 '나쁜 식품'으로 낙인찍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식품업계에서는 알룰로스 등 당함량이 적으면서도 당도가 높은 원료로의 대체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조원가의 상승이 불가피해 제품 가격인상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한국식품산업협회는 당저감화애 동참하기 위해 당류 저감을 위한 태스프코스(TF)를 가동하면서 업계의 기술적인 대응 방안 등을 연구하고 있다.
한편 식약처는 식품별로 당류 저감 목표와 연도별 저감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할 계획이다. 복지부, 농림축산부와 함께 당류 저감을 위한 '국민 공통 식생활 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