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채무계열 평가 마무리 수순…신용위험 평가 착수
조선·해운업 등 취약업종은 협력업체까지 심층 평가
금융당국이 조선·해양 부문에 이어 이달에는 주채무계열 및 개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3트랙(경기민감업종-부실징후기업-공급과잉업종)' 구조조정 중 2단계인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상시구조조정이 시작되는 것.
상시구조조정은 매년 되풀이되는 작업이지만 이번 만큼은 정부가 어느 때보다 강한 구조조정 의지를 보이는 만큼 대상 기업이 예년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1일 금융당국은 금융감독원이 시행 중인 주채무계열 대기업그룹 재무구조 평가를 이달 중 마무리해 선별 기업을 주채권은행과 약정을 체결하게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 기준 금융회사 총 신용공여액이 1조3581억원 이상인 39개 계열기업군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했다. 이 기업군에 속한 소속 계열사의 수는 4443개다.
주채무계열 평가에서 재무구조취약 기업이나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되면 구조조정 원칙에 따라 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정보제공 약정 등을 맺고서 채권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약정 이행 및 자구계획 이행 상황을 점검받아야 한다.
금감원은 앞서 2014년에는 14곳을, 지난해에는 11곳을 약정 기업으로 선정하고 자본확충, 자산매각, 사업구조 재편 등의 자구계획을 이행토록 한 바 있다.
한편 금감원은 주채무계열 평가와 별도로 대기업에 대한 정기 신용위험 평가를 진행한다. 7월까지 대기업, 10월까지 중소기업을 평가해 이른바 '좀비기업'을 솎아낼 방침이다. 필요하다면 하반기에 대기업에 대한 수시평가도 진행키로 했다.
특히 올해는 '취약업종'으로 지목된 조선·해운·철강 관련 기업들에 대한 평가가 예년보다 더욱 엄격해진다. 금감원은 최근 내부 인사를 통해 3명을 신용감독국에 추가로 배치, 태스크포스(TF) 형태로 신용평가에 돌입했다.
금감원은 신용평가를 통해 기업을 A~D의 네 개 등급으로 나누는데, C~D등급 기업은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 대상으로 분류한다.
지난해에는 대기업 54곳, 중소기업 175곳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돼 각각 2010년(65개)과 2009년(512곳)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취약업종에 속한 기업이라면 다른 업종과 똑같은 재무상황이라 하더라도 재무건전성 유지 계획을 더욱 꼼꼼히 들여다보고 옥석을 가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