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희소 가치로 소형아파트 인기가 높다. 소형은 불황에도 가격 하락이 적어 경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봄철 분양시장에서 전용 60㎡ 이하 소형아파트가 분양돼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곳이 경기도 용인시 동천동, 서울 강동구 명일동, 경기도 김포 한강신도시 등으로 소형 품귀를 보이는 지역이다. 실례로 지난 3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 선보인 '고잔롯데캐슬 골드파크'의 경우 전용 59㎡가 1순위 평균 경쟁률 8.92대 1로 다른 평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달 충남 천안시 동남구 봉명동에서 공급한 '천안 봉서산 아이파크'의 경우 전용 49㎡ 1순위 평균 4.53대 1로 최고경쟁률을 보였다.
그만큼 수요에 비해 희소성이 있어서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경우 2003∼2015년새 주택공급량은 4만476가구, 이중 전용 60㎡ 이하는 2370가구로 공급물량의 5.86% 수준이다. 따라서 가격 상승 폭도 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송도캠퍼스타운'(올 3월 입주) 전용 59㎡의 경우 이달 현재 3억64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분양가 대비 3400만원 오른 것으로 이는 다른 주택형이 2000만원 가량 오른 것에 비하면 높은 편이다.
상반기 분양시장에서 소형아파트 공급이 많지 않다. 그 중에서 눈에 띄는 단지는 이달 GS건설이 경기도 용인에서 공급하는 '동천자이 2차'로 전용 59㎡ 103가구가 포함돼 있다. 용인시 수지구(광교신도시 제외)에서는 2005∼2016년 전용 60㎡ 이하 소형아파트 공급은 112가구로 극히 적다. 수지구에서는 전용면적 77㎡가 226가구 뿐이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59~104㎡ 총 1057가구다.
포스코건설이 부산 해운대구 반여동 일대에서 분양하는 '더샵 센텀그린'의 경우 전용 59㎡를 220가구 분양한다 그간 10년새 해운대구에서 공급된 전용 60㎡ 이하의 소형은 전체의 13.93%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59~72㎡ 총 464가구를 소형으로 구성했다.
롯데건설은 경기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일대에서 '신흥덕 롯데캐슬 레이시티'를 분양한다. 용인시 기흥구에서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공급된 아파트는 3만 3987가구로 이중 전용면적 60㎡이하는 7616가구 수준이다. 이 단지는 전용 59~84㎡ 1597가구 중 전용 59㎡ 1092가구다.
대림산업은 6월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 36-1번지 일대에 'e편한세상 상도 노빌리티'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전용 59~108㎡, 893가구 규모로 이중 408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일반분양 분 중 전용 59㎡는 87가구다. 그밖에 5월 경기 성남시 수정구 가천대역 인근에서 '가천대역 두산위브'를 비롯해 경기 양주시 양주신도시 옥정지구의'양주신도시 리젠시빌 란트'에도 소형이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