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KT, 연세의료원과 아프리카 의료환경 개선 나선다

르완다 키갈리에 위치한 보건부 청사에서 르완다 의료환경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동구 주르완다 한국대사관 영사(1등 서기관), 송시영 연세의료원 의과대학학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차관보), 아그네스 비나과호 르완다 보건부 장관, 차동석 KT 헬스케어 사업담당 상무. (좌측부터)/ KT



KT는 연세의료원, 르완다 키갈리 국립대학병원과 함께 르완다의 의료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 시범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지난 7월 21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MOU는 지난 6월 이루어 졌던 보건복지부 대표단의 르완다 보건부 방문과 양국의료협력 협의를 계기로 이뤄졌다. 해당 방문 일정 중 보건복지부는 르완다 보건부와 정부 간 의료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아프리카 중앙에 위치한 르완다는 대표적인 의료 낙후 국가다. 인구 1만명당 의사 수가 아프리카 평균의 4분의 1인 0.65명에 불과하다. 또 인구의 27%가 의료시설 접근에 1시간 이상 걸릴 정도로 의료인프라가 부족해 질병의 조기 진단이 어려워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KT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세의료원과 함께 이번 시범사업에 최고의 ICT기술이 집약된 모바일 진단솔루션과 최고의 의료역량을 제공해 르완다의 의료환경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KT가 적용할 모바일 진단솔루션은 소량의 혈액과 소변을 이용해 말라리아, 뎅기열, 에이즈, 신부전 등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측정된 건강 정보는 KT가 지난 2013년부터 르완다에 구축한 롱텀에볼루션(LTE) 망을 이용해 키갈리 국립대학에 설치된 종합건강정보센터에 전송된다. 향후 연세의료원의 의료진자문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차동석 KT 헬스케어 사업담당 상무는 "모바일 진단기기는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수단이며 이번 MOU 체결과 현지 시범사업을 통해 르완다의 의료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지난 2012년부터 유전체 분석 플랫폼 '지놈클라우드'를 출시하는 등 꾸준히 바이오인포매틱스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구시와 수요연계형 데일리 헬스케어 시범단지 조성사업을 수행하는 등 차별화된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고 있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헬스케어사업 진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