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산은 회장 일문문답 "추가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30일 한진해운 추가지원 불가 결정에 대해 "국민 혈세를 쓰는 입장에서 원칙에 따라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동걸 산업은행장, 정용석 부행장과의 일문일답.
-신규 지원 불가 결정 배경은.
"추가지원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었다. 채권단이 부족자금과 관련해 한진과 간극을 좁히려고 했으나 사주로서의 책임 있는 의지를 보인 것이 미흡하다고 봐 신규자금 지원 요청을 수용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자율협약 다음 달 4일 끝나 아직 여유가 있다. 한진이 추가 자구안 제출하면 추가 협상 여지 있는지.
"현재로써는 채권단 지원 불가 결정이 내려진 상태다. 다음 달 4일에 자율협약이 종료되는 상황에서 다시 협상안이 나올 경우를 가정해서 말하는 건 어색하다. 하지만 최후까지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생각이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최대 17조원 손실이 발생한다는 분석이 있다. 이런 주장에 동의하는지, 어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는지.
"선주협회에서 17조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밝힌 보도를 봤다. 부족자금이 3000억원이라고 했는데 현재 5000억원에서 8000억원 정도가 부족하다. 17조원의 손실이 예상된다는 부분도 나름의 근거가 있겠지만, 저희는 그런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본다. 시각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손실이나 피해 최소화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
-법정관리 등 향후 일정은.
"아직 법정관리에 대해서 회사 측의 얘기를 듣고 있지 않다. 가정을 전제로 얘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일반적인 절차는 개시 신청, 인가 결정 등이다."
-오늘로써 자율협약은 완전히 끝났다고 보면 되는지.
"자율협약의 실질 종료는 9월 4일이다.
-팬오션 때처럼 법정관리 하에서도 한진 자금 지원 가능할지.
"법정관리에서 지원한다는 건 한계가 있다."
"(정용석 부행장) 팬오션과 한진은 비즈니스 모델이 다르다. 팬오션은 벌크 위주로 계약해서 해외 상거래 채권까지 채무 동결했다. 그래서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다. 반면 한진해운은 컨테이너 선사 위주다. 법정관리 가면 얼라이언스 퇴출, 용선에 따른 단선 조치 등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사업 유지가 어렵다. 이에 따라 팬오션하고 똑같은 구조 아래 자금 지원은 지금으로써는 굉장히 어려워 보인다."
-법정관리 되면 사실상 파산 절차 밟을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있다.
"(정용석) 파산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법정관리 이후에 용선 채권자들이 이미 발생한 연체 용선료, 여러 기타 채권과 관련해 정상화에 얼마나 참여할지가 중요하다."
-해운 업체 간 합병 가능성은 없는지,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현재까지 합병을 전제로 한 어떤 시나리오도 없었다. 앞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