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법정관리 불똥이 삼성전자와 금호타이어, 여수산단 기업 등 광주·전남 수출입업체들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가운데 광주광역시가 현 상황 점검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광주광역시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에 따른 지역 수출기업들의 피해상황 파악과 지원방안을 협의하기 위한 수출유관기관 긴급회의를 6일 개최했다.
중기청, 무역협회,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등이 참여한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 수출기업들의 피해사례와 수출운송 동향 등을 공유하고, 유관기관 간 대책 마련을 위한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한진해운 법정관리로 물류운송에 차질을 빚고 있는 지역 업체들의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지원방안 등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수출물류 이동수단 중 해상이용은 전체 물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한진해운을 이용하는 비율은 6.6%이른다.
지역 항만인 광양항을 이용하는 수출물량(2015년 기준)은 175만TEU에 달하며, 이중 한진해운을 이용하는 양은 18만TEU로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광주·전남 등 호남지역 해상 수출물량의 10% 정도가 한진해운을 이용하는 셈이다.
수출물량 중 10% 가량을 한진해운을 통해 운송하고 있는 지역 수출업체인 삼성전자 광주사업장도 대체선박 확보 등 피해를 최소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많은 물량은 아니지만 역시 대체선박을 물색 중이다. 동부대우전자도 수출물량 중 한진해운 의존율이 10%에 이른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본부는 한진해운 법정관리에 따른 수출화물 물류 애로신고센터를 열고 지역수출입업체의 피해사례를 접수, 대응반응 구성해 정부에서 대책방안이 나오면 이 지역 업체가 누락되지 않도록 안내할 계획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한진해운 법정관리에 따른 물류운송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수출 유관기관들과 지역 수출업체체들의 지원방안을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