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로비전의 올 3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지난 7월 SK텔레콤과의 인수ㆍ합병(M&A) 불허 결정 이후 경영 정상화에 주력해 방송 가입자와 가입자당매출(ARPU)은 반등세로 돌아섰다.
CJ헬로비전은 3일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5.3%, 6.3% 줄어든 2803억원과 16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프로그램 사용료와 주문형비디오(VOD) 수급 비용이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차입금 감소로 이자비용이 줄면서 당기순이익은 전분기보다는 10.6% 증가했다. 9월 말 기준 CJ헬로비전의 부채비율은 87.2%로 지난해 말 대비 23.1%포인트 개선됐다.
M&A 무산 이후 케이블방송 가입자와 방송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소폭 반등세로 돌아섰다는 점은 경영 정상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블방송 가입자는 지난 2014년 3분기 이후 8분기만에 소폭 증가한 409만 6000명을 기록했다. 핵심 수익지표인 방송 ARPU도 지난해 3분기 이후 4분기 만에 전분기 대비 1.2% 증가해 8029원을 기록했다.
디지털케이블방송 가입자는 260만1000명으로 전분기 대비 2만명, 전년 동기 대비로는 6만9000명 증가했다. 디지털케이블방송 ARPU는 1만558원으로 전분기 보다 141원 상승했다. 9월 말 CJ헬로비전의 디지털 전환율은 64%다.
알뜰폰 '헬로모바일' 또한 가입자 감소폭이 둔화됐다. LTE 서비스 가입자 비중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9월 말 기준 82만3000명의 가입자 중 46%가 LTE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3분기 헬로모바일 ARPU는 지난 8월 출시한 초저가 유심요금제가 인기를 끌면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한 2만2026원을 기록했다.
CJ헬로비전은 향후 ▲방송 및 알뜰폰 사업 경쟁력 강화 ▲ N스크린(OTT) 서비스 확대 ▲ 데이터 기반의 방송 서비스 제공 ▲ 신수종 사업 진출을 통해 경영 정상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남병수 CJ헬로비전 경영지원담당은 "매년 반복되는 지상파 재송신료 및 홈쇼핑송출수수료 협상 등 불확실한 변수가 여전히 남아 있긴 하지만, 기업 경영 활동이 빠른 속도로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며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나 기술 개발(R&D)로 방송 본연의 경쟁력을 강화해 4분기에도 방송 가입자와 ARPU 반등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