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일반

시험 끝난 수험생 '최고'의 선물은 무엇

삼성전자 노트북 9



'노트북, 카메라, 드론, 헤드폰….'

어떤 선물을 고를까. 대입 수능이 끝나면서 수험생들의 선물에도 관심이 쏠린다.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행복한 고민이 시작된 것이다.

대학생이 되면 가장 받고 싶은 선물 중 하나가 바로 노트북이다. 특히 요즘엔 대학 수업을 하면서 노트북으로 필기를 하는 학생들도 많아 유용한 선물이 될 수 있다.

노트북을 고를 때 어떤 것에 신경을 써야할까.

우선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휴대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10~13인치 정도의 노트북이 가볍고 휴대성도 좋다. 이 정도면 여성들의 경우 노트북 가방을 따로 갖고 다니지 않고도 핸드백에 충분히 수납 가능하다. 무게도 1.5㎏ 전후여서 갖고 다니기에도 부담스럽지 않다. 일부 노트북의 경우 1㎏ 미만도 있지만 비용을 더 많이 지불해야한다. 휴대성을 생각한다면 14인치 이상, 2㎏ 이상의 큰 노트북은 '비추'다.

LG PC 그램 15



프로세서와 메모리, 그래픽 프로세서 등 성능도 살펴봐야 한다. 확장성 등도 고려해야 한다.

프로세서는 인텔과 AMD가 잘 알려져 있다. 거의 대부분 노트북도 이들 회사의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다. 한 때 유행했던 셀러론과 펜티엄은 현재 저가 노트북에 주로 쓰인다. 코어 i3, 코어 m 시리즈가 성능이 좋다. 이들 프로세서는 숫자가 높을 수록 성능이 뛰어나다.

메모리도 숫자가 높을수록 더 많은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한다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에선 4~8GB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다. 고성능 노트북은 메모리가 16GB 이상인 경우도 있다.

노트북으로 일반 문서 작업을 넘어서 그래픽이나 게임 등을 한다면 그래픽카드도 신경써야 한다.

노트북은 통상 신학기가 가장 저렴하다. 때에 맞춰 유통업체들이 대규모 세일 행사를 하기 때문이다. 전자랜드의 경우 이번 수능을 치른 수험생을 대상으로 본인에 한해 노트북을 최대 40% 할인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소니 디지털카메라 RX100



카메라도 수험생들의 '득템' 1순위 품목.

카메라 강국인 일본의 캐논, 니콘, 소니, 올림푸스 등에서부터 우리나라의 삼성전자 등 다양한 회사들이 카메라를 선보이고 있다. 카메라 명기인 독일의 라이카도 최근엔 '디카'를 다양하게 내놓고 있다.

카메라를 살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가격이다. 가격에 따라 제품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가격을 정했다면 그에 맞는 제품군을 회사별로 비교해보고 고르면 된다. 사진에 취미를 갖고 좀더 전문가답게 사진을 찍고 싶다면 '똑딱이'로도 불리는 디카보다는 DSLR 카메라들도 있다. 캐논과 니콘이 DSLR 시장을 거의 양분하고 있다.

카메라를 선택할 때 알아둬야 할 것이 몇가지 있다.

우선 화소다. 요즘엔 2000만 화소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일부 제품의 경우 3000만 화소가 넘기도 한다. 여행 등 일상 풍경을 담는데 주로 쓴다면 1500만~2000만 화소면 충분하다.

니콘 DSLR D500



렌즈도 살펴볼 대목이다. 렌즈와 본체가 일체형인 카메라의 경우엔 광각부터 망원까지 대부분을 커버하기 때문에 평상시 사용하기엔 무리가 없다. 그러나 DSLR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본체 따로 렌즈 따로 구비를 해야하는데 렌즈의 스펙에 따라 본체보다 더 비싸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경우도 많다. 이때도 가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의 눈과 같은 렌즈는 F로도 표시되는 조리개 수치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F에 붙는 숫자가 낮을수록 렌즈 성능이 좋고 가격이 비싼 것은 물론이다. 최대 조리개가 F1에 가까울 수록 더 많은 빛을 받아들여 안정적으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제조상 설계가 어렵기 때문에 원가가 더 많이 드는 것도 가격이 비싼 이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