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TV 강국' 한국 위상, 중국이 넘본다…격차 0.3%P로 바짝 추격

방문객들이 LG 시그니처 올레드 TV를 살펴보고 있다./ LG전자



중국이 매서운 추격세로 세계 TV 시장에서 한국을 턱밑까지 따라왔다. 이에 따라 한국의 TV 브랜드 위상도 흔들리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은 대대적인 정부 지원과 중저가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시장 점유율을 급속도로 늘려가며 프리미엄 TV 시장까지 위협하고 있다.

21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올 3분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국가별 점유율(수량 기준)은 한국이 32.2%로 1위를 지켰다. 그러나 중국이 31.9%를 기록해 불과 0.3%포인트 차이로 한국과의 격차를 크게 줄이며 추격전을 벌이고 있다.

한국은 올 1분기 34.2%에서 2분기 35.4%로 점유율을 끌어올렸지만, 3분기에는 다시 3.2%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중국은 1분기 31.4%에서 2분기 28.9%로 내려갔다가 3분기에 31.9%로 다시 올라왔다.

한국은 2012년 TV 시장에서 국가별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이후 지금까지 4년 연속으로 세계 TV 최강국 지위를 수성하고 있다. 삼성·LG전자 '투톱 체제'로 올레드, 퀀텀닷 등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중국업체들은 그간 대대적인 정부 지원과 중저가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시장 점유율을 급속도로 늘려왔다.

또 다른 시장조사기관 위츠뷰(WitsView)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3분기 점유율 19.8%, 12.4%로 여전히 1, 2위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중국업체인 TCL이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을 5.2%에서 6.5%로 1.3%포인트 높이면서 소니(5.4%)를 5위로 끌어내리고 3위로 도약한 것. 하이센스 또한 점유율을 5.4%에서 6.1%로 끌어올리며 무서운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중국이 한국을 제치고 글로벌 TV 국가로 도약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세계 주요 TV 시장에서 당분간 중국과 치열한 점유율 경쟁, 판매량 싸움을 벌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