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석 삼성전자 사장이 3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킵 메모리 얼라이브 센터'에서 'QLED TV'를 발표하고 있다. /오세성 기자
삼성전자가 3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킵 메모리 얼라이브 센터에서 세계 200여 미디어가 모인 가운데 차세대 TV 신제품을 전격 공개했다.
이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퀀텀닷 입자에 메탈 소재를 코팅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QLED'로 명명했다. 이를 통해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의 콘텐츠 제작 기준인 DCI-P3 색영역을 정확하게 지원하고 세계 최초로 컬러 볼륨까지 100% 구현했다. 크기별로는 88형 Q9F, 75형 Q8C 등이 출시된다.
◆밝기 높여도 색 왜곡 없어… 블랙도 리얼하게
QLED TV는 최고 밝기가 1500니트(nits)와 2000니트인 제품으로 출시된다. 최고 밝기가 높아져 보다 자연에 가까운 밝은 빛을 낼 수 있다. 기존 TV는 밝기를 높일 경우 색 정확도가 떨어졌고, 한정된 시야각에서만 제 색을 냈지만 이번 제품은 어떤 밝기에서도 정확한 색 표현이 가능하다. 삼성 QLED TV는 메탈 퀀텀닷 기술로 깊은 블랙을 표현할 수 있기에 주변 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밝거나 어두운 어떤 장면에서도 디테일한 색의 차이를 놓치지 않는다. 퀀텀닷에 최적화된 패널 구조를 새로 도입해 시야각에 따른 색 왜곡을 최소화했다.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은 "2017년에는 QLED가 TV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며 "삼성 QLED TV는 초고화질 시청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HDR 구현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이제 TV 시장에서 더 이상의 화질 경쟁은 무의미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삼성전자가 OLED TV(왼쪽)와 QLED TV에서 같은 영상을 틀며 시연하고 있다. 우측 QLED TV 화면이 밝은 곳과 어두운 곳 모두 세밀하게 표현됐다. /오세성 기자
◆화질 경쟁 끝… SUHD도 끝
삼성전자는 향후 화질 경쟁이 무의미해지는 대신 사용자 불편을 줄이는 데에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현석 사장은 "미국의 경우 TV 한 대에 보통 3대의 다른 디바이스를 연결해 사용한다"며 "리모컨 4대를 쓰는 대신 하나의 리모컨에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이러한 불편을 해소한 사례"라고 제시했다.
이 외에 아파트에 거주하는 한국과 달리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은 미국에서는 가전제품을 설치할 때 케이블 때문에 벽을 뚫는 공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여기에 덧붙여 김 사장은 "사용성, 디자인 등 모든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불편을 완벽하게 해소해 주는 좋은 TV의 기준을 삼성 QLED TV가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QLED TV 출시와 함께 삼성전자는 SUHD 브랜드도 폐기한다. 삼성전자 김문수 부사장은 "SUHD는 기술을 기반으로 둔 명칭이 아닌 단순 마케팅 용어"라며 "그 때문에 소비자에게 크게 공감을 얻지 못한 것 같다. (SUHD 브랜드 사용을)중단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QLED는 자체발광을 하는 OLED와 달리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LCD 디스플레이다. 때문에 진짜 QLED가 아니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김문수 부사장은 "QLED에 대한 산업적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며 "디스플레이 인사이트에서는 자발광과 광발광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로 정의한다"고 설명했다. 김현석 사장도 "QLED는 브랜드가 아니라 하나의 카테고리"라며 "독점적으로 소유할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자체발광 QLED 개발에 대해서는 "상당한 성과를 얻었지만 출시시기를 정하기엔 이르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