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SK텔레콤, 'MWC 2017'에서 360도 VR 생방송 서비스 공개

관객이 초고화질 실시간 360 VR 서비스인 '360 라이브 VR'로 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 SK텔레콤



시청자가 바라보는 곳이 화면이 되는 생방송 시대가 열린다.

SK텔레콤은 오는 27일부터 나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MWC) 2017'에서 초고화질 360 VR 생방송 서비스 '360 라이브 VR'를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360 라이브 VR는 360도 전 방위 화면을 제공하는 생방송 플랫폼이다. 360 라이브 VR 시청자들은 UHD 화면이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움직임 감지 센서(모션 트래커)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예를 들어,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를 생방송으로 시청할 때 1위 선수를 중심으로 경기를 볼 수도 있지만 순위와 관계 없이 우리나라 대표 선수를 따라가며 시청할 수도 있다.

SK텔레콤은 360 라이브 VR의 장점으로 ▲선명한 화질 ▲적은 전송 용량 ▲실시간 모바일 스트리밍 지연 시간 단축 ▲실감 음향 적용한 3D 오디오를 꼽았다.

SK텔레콤은 정교한 화면 접합 기술을 자체 개발해 마치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듯한 화면을 제공한다. 초당 60프레임을 제공해 타사 대비 화질 수준을 더욱 높였다.

360 라이브 VR는 6메가비피에스(Mbps)만으로 서비스 할 수 있어 필요 전송 용량을 60% 이상 줄였다. 또 3D 오디오를 적용해 시청자 시선에 따라 변화하는 현장의 소리를 느낄 수 있다.

360 라이브 VR는 올 상반기에 B2B(기업 간 거래)시장에서 우선 상용화될 예정이다. 3D 오디오 기술 적용은 하반기 중 가능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뉴 미디어 생태계 조성을 위해 올해 상반기 중 API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PI가 공개되면 관련 장비를 구비할 경우 콘텐츠 제작사나 개인도 360 라이브 V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MWC전시 현장을 직접 360 VR 카메라로 촬영해 옥수수, 페이스북, 유튜브 등을 통해 실시간·주문형비디오(VOD)로 제공할 계획이다.

SK텔레콤 박진효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5G 시대에는 현장에 있는 듯한 실감형 방송이 본격 확산될 것"이라며,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한 뉴 미디어 생태계 확산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