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전략 스마트폰 'LG G6' 출시를 앞두고 2일부터 예약 판매를 시작했다. LG G6 예약판매 문구가 걸린 서울시 종로구의 이동통신 대리점 모습. / 김나인 기자
"아직까지는 예약이 들어온 게 없네요".
5일 오후 서울 가로수길에 위치한 모 통신사 직영점 관계자는 LG전자의 차기 전략 스마트폰 'G6'의 예약 판매 분위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 직원은 "상품을 받고 진열을 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많이들 찾지 않는다"며 "현재까지 두 분 정도 직접 와서 G6를 살펴본 정도"라고 말했다.
이날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LG전자의 차기 전략 스마트폰 'G6'의 예약판매가 시작됐지만 이동통신 시장은 여전히 잠잠한 모양새다. 다만 'G4' 등 전작 보다는 양호한 예약판매 수치를 보이며 이동통신 시장에 훈풍이 불 기류를 보이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지난 2일부터 G6 예약판매에 돌입했다.
이번 G6는 전작 G5와 달리 모듈형을 버리고 일체형 디자인을 택했다. 스마트폰 최초로 18:9 화면비율(5.7인치)을 적용해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탑재했고, IP68 방수·방진 기능 등 신규 기능을 지원했다. 일명 '카툭튀'(카메라가 툭 튀어 나온 모양)가 없는 디자인에 1300만 화소 고해상도 카메라도 장점으로 꼽힌다.
G6 예약판매에 가장 공을 들인 이동통신사는 LG유플러스다. LG유플러스는 전국 700여개 매장에 체험존을 구축했다.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수준이다.
출시 일정에 맞춰 휴대폰 구매 지원 프로그램인 'R클럽2'를 선보이기도 했다. R클럽2는 30개월 할부로 G6를 구매한 고객이 18개월 이후 사용하던 휴대폰을 반납하면 잔여할부금을 최대 40%까지 보장해 준다. 휴대폰 파손 시에는 수리비의 30%, 최대 5만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SK텔레콤과 KT 또한 사전 체험 행사와 경품 제공 등을 통해 고객 눈길 사로잡기에 나섰다.
LG전자의 G6는 그간 잠잠했던 스마트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구원투수'로 여겨졌다.
실제로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이통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총 44만2738건으로, 지난해 2월 46만468건 대비 4.5%가량 줄었다. 1월 번호이동 건수도 44만9449건에 머물렀다.
업계 관계자는 "호황이던 입학, 졸업 시즌도 별다른 번호이동 수치 변화 없어 안정적인 상태로 지나갔다"며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부재로 번호이동 시장 자체가 죽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오는 10일 출시 예정인 G6에 대한 이동통신사의 기대감은 클 수밖에 없다. LG전자의 전략 스마트폰이 삼성전자의 '공백기'를 최대한 활용해 수요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팽배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전작 'G4'의 예판보다는 확실히 분위기가 좋다"며 "전작 대비 두 배 이상은 예판이 늘었다"고 말했다. 예판이니만큼 출시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실제 판매량이 크게 늘어날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변수는 89만9800원이라는 높은 가격과 내달 출시될 '갤럭시S8'에 대한 예상 수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예상했던 것만큼 G6에 대해 파격적인 반응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가격도 높은 편이고, 다음달 '갤럭시S8'이 출시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소비자들이 G6 검증 눈치싸움을 벌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