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이 7일 오전 서울 퇴계로 사옥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회사 경영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 SK브로드밴드
"개방과 협력을 통해 새로운 판을 만들어 오는 2021년 '넘버원 유무선 미디어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습니다".
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이 7일 중구 퇴계로 본사에서 취임 이후 첫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이형희 사장은 지난해 SK텔레콤 총괄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며, SK브로드밴드를 이끌게 됐다.
이를 위해 SK브로드밴드는 향후 5년 동안 연 평균 1조원씩, 총 5조원을 인프라 고도화와 콘텐츠 차별화 등에 투자하겠다는 방침이다.
이형희 사장은 "2021년까지 유무선 미디어 가입자 기반을 2700만명 수준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매출도 매년 10% 성장해 4조5000억원까지 끌어 올릴 것"이라며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이 사장은 "이전의 투자는 현상을 유지하기 위한 수준의 투자로, 더 뻗어나가는 투자가 이뤄지지 못했다"며 "미디어 사업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으로 혁신하고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등 투자를 통해 질적인 측면의 서비스 진화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SK브로드밴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활용해 B tv를 '홈·미디어 플랫폼'으로 탈바꿈한다. 옥수수의 경우 글로벌 진출을 추진해 한류 대표 플랫폼으로 키울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B tv 가입자 650만, 옥수수 가입자 2050만 등 총 2700만의 가입자 기반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현재 인터넷TV(IPTV) 서비스인 'Btv'는 올해 초 가입자 400만명을 돌파했고, 온라인·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인 '옥수수'의 가입자는 약 1100만이다.
이와 함께 SK텔레콤과의 시너지도 강화한다. SK텔레콤 AI 음성인식 스피커 '누구'와 B tv와의 연동을 고도화하고, 클라우드 캠 등 홈 모니터링 서비스와 홈 시큐리티 서비스를 확장한다.
이형희 사장은 "SK그룹의 역량을 적극 활용해서 '인텔리전트 홈 플랫폼'을 구축해 인공지능 서비스 기반의 사물인터넷, 홈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진화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B tv와 옥수수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는 PP(콘텐츠 제작 업체)들에게 개방해 고객 선호도가 높은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지원한다.
이날 이형희 사장은 'T커머스' 부문 분사계획도 밝혔다. 이 사장은 "T커머스는 조만간 분사할 예정"이라며 "전문영역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을 모시고 좀 더 특화된 서비스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합병(M&A) 가능성에 대해서는 "M&A 결정된 것이 없고 많이 기다려봐야 한다"고 일축했다. 지난해 SK텔레콤은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와 케이블 업체인 CJ헬로비전의 M&A를 추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