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7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회의실에서 개최한 '융합, 미래를 디자인하다 전문가 간담회'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전문가들과 자유토론하고 있다./미래창조과학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은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정부가 산업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융합'을 통해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 대비하기 위한 발걸음을 빠르게 하고 있다.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최양희 장관 주재로 산·학·연 각 분야에서 '융합'을 주도하고 있는 전문가들과 '융합, 미래를 디자인하다'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에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에서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거나 융합을 기획하고 있는 전문가·미래부 실·국장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미래부는 정부부처 간, 부처-민간 간 협업 생태계를 구축해 융합을 통한 혁신을 실현하겠다는 복안이다. 미래부는 타 정부부처와 기관과의 협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3년부터 52건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업수학, 'AI-바이오-로봇' 융합 등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 형태의 융합 R&D를 지원한다. 또 다부처 공동 R&D 및 산·학·연 간 협업 R&D 활성화, 인문사회·예술 등 타 분야와의 소규모 융합 R&D 발굴·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융합얼라이언스'를 활성화하고, 융합 R&D 특성을 반영한 제도개선과 융합형 인재 양성 등을 추진한다.
올 하반기에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제3차 '융합연구개발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간담회를 통해 수렴된 중요한 의견에 대하여 향후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미래부가 이 같이 융합을 강조하는 이유는 미래부의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다. 미래부는 과학기술, 정보통신, 방송통신 등을 담당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표 정책인 '창조경제'의 주무부처이기도 하다. 때문에 일각에선 조기 대선 이후 정부조직 개편 시기에 미래부 분할·해체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미래부를 ICT와 과학기술, 두 분야로 다시 쪼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미래부 관계자들은 "ICT와 과학기술연구의 융합이 시대의 대세"라며 "신사업 창출을 위한 정부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부처 존립을 위해서라도 융합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 셈이다.
앞서 최양희 장관도 신년사를 통해 "올해 미래부는 혁신과 융합의 선도 부처, 미래를 대비하는 부처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앞장서서 나가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