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기술 R&D 예산 현황. / 미래창조과학부
정부가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에 올해 1630억원을 투자하며, AI 추격자에서 '개척자'로 도약한다. 투자액은 지난해에 비해 47%가 증가된 규모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추세에 발맞춰 2017년 AI 기술 관련 R&D를 본격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발표한 '지능정보산업발전전략'과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의 일환이다.
추진 분야는 AI 소프트웨어(SW) 분야 원천 기술 개발, AI 하드웨어(HW) 기반 확보, 기초기술 투자 등 3개다.
우선 미래부는 AI SW 분야에서 239억원을 차세대 학습·추론 등을 연구하는 'AI 국가 전략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산업적 수요가 높은 언어·시각·음성 지능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을 고도화·발전시키고, 중장기적으로 기술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또 가상비서 플랫폼 원천 기술을 개발하는 '플래그십 프로젝트(145억원)', 노인 돌보미·무인 경계로봇 등을 개발하는 'AI-로봇 융합 사업(100억원)' 등도 추진한다.
하드웨어 기반 확보를 위해서는 고용량 AI 소프트웨어가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올해 62억원을 투자해 슈퍼컴퓨팅 기술개발에 나선다. 칩·소자 단위에서 기계학습 소프트웨어 실행을 최적화하는 지능형반도체와 뇌신경모방칩 원천기술도 196억원을 투입해 개발할 계획이다.
차세대 기술 창출 기반을 위해서 기초기술 분야에도 투자한다. 뇌과학 연구를 확대하고, 대학 산업수학 센터 지정 등 산업수학을 본격 지원한다.
향후 미래부는 정부 AI R&D 결과물을 민간 분야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 역할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오는 9월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가 개발중인 AI '엑소브레인' 언어처리 주요 요소기술을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형태로 공개한다. 산·학·연이 기술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법률·특허·금융 분야에서도 사업화 기술 개발을 시작한다.
미래부는 "제4차 산업혁명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기초·원천기술 R&D를 수행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며 "AI 분야에 대한 전략적 R&D를 추진해 다가오는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