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이 SK텔레콤의 여성 안심 서비스 '지키미'를 소개하고 있다. / SK텔레콤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기, 실내 보안 서비스, 반려동물 용품까지 판매하는 사업자. 바로 과거 휴대전화를 주로 판매하던 이동통신사다.
홀로 사는 1인 가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 통신사가 보안 서비스를 비롯해 혼자서도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업데이트 하며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가고 있다. 1인 가구에 걸맞는 통신 기능을 담은 기기를 내세우며 그야말로 '만물상'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의 수는 약 520만으로 전체의 27%에 이르고 있어 새로운 소비 계층을 이루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홈 서비스를 위주로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나홀로족'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 과거에 비해 다양해졌다.
LG유플러스 모델이 혼자 사는 고객 위한 IoT 오피스텔을 소개하고 있다. / LG유플러스
◆'1인 가구 지키미'부터 '맞춤형 IoT 오피스텔'까지
SK텔레콤의 여성 안심 서비스 '지키미'가 대표적이다. 'SOS 버튼'과 '문열림센서' 등 2종으로 구성된 지키미는 혼자 사는 여성을 위해 특화된 스마트홈 보안 서비스다. 외부침입 실시간 감지, 위험 경보 알림 등 다양한 안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향후 자신의 위치와 긴급상황을 알리는 112 문자신고 서비스도 제공될 계획이다.
특히 'SOS버튼'을 누르면 보안업체 NSOK 상황실로 구조요청 신호가 전달, 고객의 위치를 파악해 보안요원이 즉시 출동해 범죄에 취약한 1인 여성 가구에게 유용하다.
SK텔레콤의 보안상품인 'Tn안심'은 소상공인, 1인가구 고객을 대상으로 휴대폰과 보안상품만 결합해도 통신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의 보안 관련 결합상품이 휴대폰, 보안상품, 인터넷 등 다수를 결합해야 했다면, 1인 가구를 위해 휴대폰으로만 결합해도 할인이 제공된다.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IoT 오피스텔도 나온다. LG유플러스는 1인 가구 고객들을 위해 부동산시행전문업체와 건설시공업체와 손잡고 안산시에 IoT오피스텔 '안산고잔 ZOOM CITY'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혼자 사는 20~30대 젊은 층이 주류를 이루는 오피스텔의 주거 특성상 입주자들은 IoT 보안 시스템이나 스마트폰을 통한 원격 기기제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열림감지센서 등 LG유플러스의 홈IoT 서비스는 오피스텔 분양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오피스텔에는 '고급형 IoT허브', '열림감지센서', '플러그', '스위치' 등 LG유플러스의 가정용 IoT 상품 4종과 IoT시스템에어컨이 구축될 예정이다. 홈CCTV 맘카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모델이 KT의 IPTV서비스인 올레 tv를 통한 펫 케어 포털 '왈하우스'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KT
◆'펫' 시장 뛰어드는 이통사…IPVT부터 웨어러블까지 판매 기종 확대
1인 가구 증가로 애견을 가족처럼 키우는 이들이 늘면서 통신사가 펫 시장과 관련해 제휴·판매하는 제품 수도 늘고 있다. 2020년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약 6조원, 2025년 펫 IoT 시장은 26억 달러(약 3조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반려동물의 운동량과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목걸이형 센서 기기들이다. KT의 '왈하우스'는 인터넷TV(IPTV) 서비스를 이용해 외출 후 집에 홀로 남겨진 펫에게 주인의 사진과 목소리가 담긴 메시지를 TV로 전송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외출해서도 원격으로 앱을 통해 간편하게 사료를 줄 수 있는 '펫스테이션'을 내놨고, SK텔레콤은 반려동물 전용 웨어러블 기기 'T펫'을 타 통신사 고객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업계 관계자는 "홈 IoT와 웨어러블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1인 가구를 비롯한 개별 이용자들이 원하는 수요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며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춘 IoT나 통신 서비스들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