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5세대 이동통신(5G) 정보 제안 요청서(RFI)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협력사들과 5G 상용화를 위해 서비스와 핵심 기술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의하는 장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국내 최초로 5G RFI를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RFI에는 SK텔레콤의 5G 추진 목적, 현황, 기술 요구사항 등이 담겨 있다. 참여하고 싶은 협력사는 답변서를 제출하면 된다. 이후 입찰 제안 요구서(RFP) 발송 등의 절차를 거쳐 5G 상용화 준비를 본격화한다. 이번 RFI는 SK텔레콤의 홈페이지에서 모든 협력사에게 공개됐다. 5G에 관심 있는 사업자들은 열람할 수 있다. RFI에 대한 답변서 제출 기한은 오는 27일까지다.
SK텔레콤은5G 상용화 준비와 병행해 협력사들과 글로벌 표준 활동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RFI 논의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장비 등 다양한 ICT 기업들이 동참, 표준화 협력도 한층 힘이 붙을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SK텔레콤은 협력사와 효율적인 5G 상용화 의견 조율을 위해 초고주파수 대역의 무선전송, 국내외 5G 로밍,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의 신규 서비스 지원, 가상 인프라 지원, 5G와 LTE 융합 등 핵심 기술을 RFI에 포함했다.
이에 따라 올해 말 표준화가 완료될 'NSA(Non Standalone)' 기반 5G 및 롱텀에볼루션(LTE) 융합 기술도 논의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5G 조기 상용화를 위해 글로벌 주요 사업자·제조사들과 함께 NSA 기반 표준을 올해 말까지 완료할 것을 3GPP에 제안했고, 지난 3월 최종 승인된 바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이번 RFI 공개는 SK 텔레콤이 협력사들과 함께 5G 생태계를 구축하고 상용화를 준비하는 공식적인 첫 걸음"이라며 "개방과 협력을 통해 5G 상용화를 앞당기고 고객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