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도자기로 만든 명품 냉장고 '셰프컬렉션 포슬린’

삼성전자가 조선 백자의 깨끗한 색감과 광택을 냉장고에 구현한 '셰프컬렉션 포슬린'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을 필두로 프리미엄 라인업을 확대해 고가 가전 판매량을 작년보다 세배 가량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30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호림아트센터에서 '셰프컬렉션 포슬린' 출시 행사를 가졌다. 셰프컬렉션 포슬린은 삼성전자의 가전기술이 집약된 제품이다. 포슬린은 도자기 소재로 냄새가 스며들지 않는다. 표면 기공이 없어 변색되지 않는 점도 특징이다.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최익수 상무가 30일 서울 신사동 호림아트센터에서 삼성 셰프컬렉션 포슬린을 소개하고 있다./삼성전자



그러나 냉장고 내부에 포슬린 소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영국 등지에서 구한 원재료를 일본에서 초벌·재벌구이, 연마작업 등 도자기 장인의 수작업을 거친다. 셰프컬렉션 포슬린은 완성되기까지 40일간 27단계 공정, 분야별 전문가들의 수작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데 기존 가전과는 완전히 차별화된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깨지기 쉬운 포슬린 소재의 단점도 보완했다. 이를 위해 방탄복에 사용되는 섬유 복합 소재인 아라미드를 사용했다. 500g의 금속 공을 약 1m의 높이에서 떨어트려도 포슬린 패널은 깨지지 않는다.

셰프컬렉션 포슬린의 가장 큰 장점 가운데 하나는 높은 열용량이다. 열용량은 물체의 온도를 1℃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수치가 클수록 온도 변화가 최소화 된다.

또 플라스틱과 메탈 소재 냉장고에 비해 음식을 오랜 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기존 제품과 비교해 도어를 열었을 때 온도 상승 폭이 83% 줄었고, 설정 온도로 회복되는 시간은 약 76% 빨라졌다.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면서 절전효과는 물론, 음식물 낭비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슬린 소재는 냉장고 위생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다. 표면에 기공이 없어 양념·소스·국물 등이 흘러도 변색되거나 냄새가 스며들지 않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간단히 물로 닦기만 해도 미생물이 100% 제거된다.

삼성전자는 '셰프컬렉션 포슬린'을 통해 명품 가전시대의 세로운 장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초고가 라인업은 물론, 프리미엄 제품을 꾸준히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최익수 삼성전자 생활가전 상품전략 그룹장 상무는 "삼성전자가 500만원 이상 냉장고 시장에서 점유율 9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며 "셰프컬렉션 포슬린으로 한 단계 높은 고급 시장을 창출해나가며 프리미엄 냉장고 판매량을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리겠다"고 말했다.

'반무광의 풀메탈을 적용한 혼드 블랙 색상으로 출시되는 셰프컬렉션 포슬린'의 용량은 915ℓ, 출고가는 1499만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