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고객들이 KT 기가 와이파이를 이용하고 있다. / KT
KT가 전국 10만 규모의 와이파이 AP(엑세스포인트)를 타사 고객에게도 개방한다. 문재인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방침에 선제적으로 발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최대 와이파이 AP를 갖고 있는 KT의 이번 결정으로 데이터 통신비가 상당 부분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전국 10만 규모의 와이파이 AP를 타사 고객을 포함, 전국민에게 오는 8월 중 개방할 방침이라고 11일 밝혔다.
유동인구가 많고 일상 생활과 밀접한 편의점, 백화점, 버스정류장 등 생활편의시설을 중점으로 관광지, 체육문화시설 등 데이터 이용이 많은 장소를 중심으로 와이파이를 개방한다.
타사 고객들이 KT 와이파이 AP에 접속할 경우 5~15초의 일정시간 광고를 시청한 후 1시간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하게 된다. 구체적인 이용 방법은 8월 내 KT가 올레닷컴 등을 통해 공지할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4월 기준, 와이파이 트래픽은 약 1만4108테라바이트(TB)로 2014년 4월 7309TB 대비 3년간 약 2배 가까이 늘었다. 또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와이파이를 통한 동영상 이용시간은 전체 동영상 이용시간의 90.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상당수 국민이 이번 KT의 와이파이 개방 결정으로 데이터 절감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에 이어 KT도 타사 고객에게 와이파이를 개방하기로 하면서 이동통신사가 개방한 와이파이 AP는 약 26만개로 늘어난다. 지난 2012년 와이파이를 개방한 LG유플러스는 약 8만 AP를 개방하고 있다. SK텔레콤도 지난해 말부터 단계적으로 AP 개방을 시작해 최근 8만개의 AP를 개방했다.
KT의 와이파이 개방은 문재인 대통령의 가계통신비 인하 공약과 맥을 같이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가계통신비 인하 방안을 발표하면서 "이동통신사가 무선인터넷 와이파이를 공유하고, 통신사가 보유한 와이파이 존이 없는 곳은 중앙정부, 지방정부가 함께 공공 와이파이존을 신설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KT가 정부 정책 협조와 동시에 이용자 후생 제고에도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구체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KT는 19만여개의 와이파이 AP를 보유하고 있으며 SK텔레콤은 14만여개, LG유플러스는 8만여개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KT는 와이파이 개방에 따라 이용자 증가에 대비해 품질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트래픽이 많은 곳은 집중 증설하고, 노후 장비를 점검하는 등 8월까지 만반의 준비를 마칠 계획이다.
아울러 KT는 연내 한중일 무료 와이파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KT의 제안을 차이나모바일과 NTT도코모가 받아들이면 KT 고객은 별도 가입이나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 없이 중국과 일본에서 양사가 구축한 와이파이 인프라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차이나모바일의 와이파이 AP는 약 450만개, NTT도코모는 약 18만개 수준이다.
강국현 KT 마케팅부문장은 "지속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사용과 통신 비용 부담 사이에서 고민했던 고객들을 위해 10만 와이파이 AP 전국민 개방과 한중일 무료 와이파이 로밍 서비스를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정부의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한 공공 와이파이 2.0 사업추진에 부응하고, 고객들이 부담 없는 모바일 라이프를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에서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