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암호통신 실험망이 구축돼 있는 SK텔레콤 분당 사옥에서 연구원들이 양자암호통신 관련 장비를 테스트하고 있다. / SK텔레콤
SK텔레콤이 에너지의 최소 단위인 양자를 활용해 해킹 기술로 뚫을 수 없는 장거리 통신 보안 체계를 구축한다. SK텔레콤은 행정, 국방 등 보안이 필요한 산업과 연계해 양자암호통신 솔루션을 국내는 물론 해외 상용 망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국내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 장치를 개발하고, 분당에서 용인·수원까지 왕복 112㎞ 구간의 실험망에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장치를 여러 개 연결하면, 수백~수천㎞까지 양자암호통신을 보낼 수 있다.
양자암호통신은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에너지의 최소단위인 양자의 복제 불가능한 특성 등을 이용한 통신 암호 기술이다. 전송구간에서는 현존하는 어떤 해킹 기술로도 뚫을 수 없는 통신 보안 체계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통신사의 기간통신망은 물론, 행정·국방·금융·의료 등 정보 보안이 꼭 필요한 다른 산업에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의 활용도가 상당히 높다.
다만, 그간 양자암호통신은 단일 양자 수준의 미약한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용 중계장치 개발 전에 양자암호키 전송은 약 80㎞까지만 가능했다. 거리의 한계가 양자암호통신 상용화의 큰 걸림돌로 작용한 것이다.
SK텔레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장치를 개발하고, 80㎞ 이상 양자암호키를 전송할 수 있게 했다. 가령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거리가 약 460㎞인 점을 고려하면, 전용 중계장치 다섯 개만 설치할 경우 서울에서 보낸 양자암호키를 부산에서 수신할 수 있다.
SK텔레콤 측은 "올해 말 전용 중계장치를 자사 상용 망에 일부 적용하고, 양자암호통신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이 이번에 개발한 전용 중계장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양자암호 테스트베드 구축' 국책사업 지원으로 지난 2년 간 연구를 거친 순수 국내 기술이다. 또 SK텔레콤은 많은 수의 양자암호키를 동시에 다양한 수신처로 보내줄 수 있는 전용 중계장치도 개발해 상용 망에 적용할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이번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성공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며, "양자암호통신이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술이 될 수 있도록, 핵심 기술 개발은 물론 관련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이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시연에 성공함에 따라 관련 시장의 성장이 예상된다. 마켓리서치미디어에 따르면 국내 양자정보통신 시장은 2021년부터 성장해 2025년 약 1조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26조9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