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의 LED제품 제조업체 A사는 3분기 국내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사 관계자는 "공공서비스를 강조하는 새정부가 들어서면서 도심 가로등 유지보수 등 LED제품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주의 화장품업체 B사는 3분기 내에 작년 매출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가 한창이었던 3~5월 중국유통업체와의 납품계약이 무기한 연기되고 통관절차와 위생허가가 까다로워지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이 달 들어 화장품 샘플 요청과 주문이 몰리며 수출액이 회복되고 있다.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 전망이 2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출 호조세'와 '새정부 기대감'이 작용한 덕분이란 분석이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3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경기전망지수는 2분기보다 5포인트 상승한 94를 기록했다. 기준치(100) 아래지만, 2015년 2분기(97) 이후 9분기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대한상의는 "새정부가 출범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추경 편성 등으로 내수심리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며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수출 증가세 역시 기업체감경기 개선에 긍정적 영향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수출증가세에 비해 견고하지 못한 내수의 회복세와 가계부채 문제 등은 불안요인"이라며 "본격적인 경기회복세를 예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수출·내수기업 간 체감경기는 온도차를 보였다. 3분기 수출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104를 기록해 기준치를 넘긴 반면, 내수부문 BSI는 92로서 기준치에 못 미쳤다. 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수출(103→104)·내수(87→92)부문 모두 소폭 올랐다.
지역별로는 산업단지(광주·여수) 신규 조성과 지역맞춤형일자리 정부정책에 기대감이 큰 광주(115)와 전남(115)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서울(111), 경기(107), 제주(107), 인천(105), 강원(102) 순으로 기준치를 상회했다. 반면 대전(95), 충북(92), 전북(88), 경북(85), 부산(84), 울산(84), 대구(78), 충남(77), 경남(75)은 기준치에 미달했다.
올 하반기 취업문은 지난해 하반기에 비해 좀 더 넓어질 전망이다. 상의가 신규채용 계획이 있는 제조업체를 추려 신규채용 BSI를 집계한 결과, 103으로 기준치를 넘어섰다.
신규채용 분야는 '생산기술직'이 60.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사무직'(15.8%), '연구개발직'(11.4%), '영업직'(9.2%) 순이었다.
업종별로 '정유·석유화학'(142), '식음료'(115), 'IT·가전'(101), '기계'(103) 등이 기준치를 웃돌았고, '자동차'(96), '철강'(87), '섬유·의류'(79), '비철금속'(94) 등은 기준치를 밑돌았다.
박지순 고려대 교수는 "세계적 경기개선에 따른 수출호조세와 새정부의 일자리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려는 기업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말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는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경제체질 개선,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선제적 대응, 노동시장 구조개혁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가야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