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세계 3대 전기차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미시간주에 전기차 부품 공장을 설립한다.
이번 공장 설립으로 LG전자가 신성장 사업의 하나로 육성 중인 자동차 부품 사업(Vehicle Components, VC)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LG전자는 미시간주 동남부 공업도시인 디트로이트의 교외에 있는 헤이즐 파크(Hazel Park)에 약 2500만달러(약 285억원)를 투자해 전기차 부품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LG전자가 미국 미시간주(州)에 전기차 부품 공장을 설립한다. 미시간 주정부 청사에서 LG전자 전기차 부품 공장 설립을 협의하고 있는 LG전자 VC북미사업센터장 장원욱 전무(사진 왼쪽)와 미시간주의 릭 스나이더(Rick Snyder) 주지사./LG전자
LG전자측은 "미시간주 트로이에 위치한 VC북미사업센터와의 시너지, 주정부 자금 및 채용 지원과 같은 각종 인센티브 등을 감안해 이 지역 공장 부지와 건물을 임차해 생산설비를 구축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미시간주 전기차 부품 공장은 연면적 21만5000㎡ 규모로 2018년 1분기 내에 구축이 완료된다.
LG전자는 이곳에서 전기차용 배터리팩(Battery Pack)을 생산하게 되며, 모터 등 주요 전기차 부품으로 생산품목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이번 공장 설립으로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급성장하고 있는 미국 전기차 시장을 집중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25만7929대), 유럽(10만8639대)과 함께 지난해 10만4178대의 순수 전기차가 팔린 3대 전기차 시장으로 꼽힌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미국 전기차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65.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LG전자가 VC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 자동차 부품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VC사업본부는 2015년 실적을 처음 공시한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전년대비 51.3% 증가한 2조773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올 상반기에 전년동기대비 42.7% 증가한 1조759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 지난해 미국과 올해 국내에서 출시된 GM의 순수 전기차 '쉐보레 볼트(Bolt) EV'에 구동모터와 인버터, 배터리팩 등 핵심 부품 11종을 공급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 부품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쉐보레 볼트 EV' 상용화에 크게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아, GM이 개최한 '올해의 협력사(GM Supplier of the Year)' 행사에서 LG화학과 함께 '올해의 혁신상(Innovation Award)'를 수상하기도 했다.
LG전자 VC사업본부장 이우종 사장은 "이번 공장 설립은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는 미국 완성차 업체들에게 LG전자가 최고의 파트너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