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 와이파이 확대를 통한 '와이파이 메카' 조성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오는 10월까지 와이파이 메카의 청사진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효율적인 공공 와이파이 구축을 위한 기술적 방안과 서비스 모델 등을 논의하기 위해 산·학·연 관련 전문가 25여명으로 '공공 와이파이 확대 실무작업반'을 구성·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주요 참석자는 이동통신사와 와이파이 제조사, 플랫폼 사업자, 사물인터넷(IoT)사업자, 공공기관 등이다.
정부는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통신비 경감과 무선 인터넷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공공 와이파이 확대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실무작업반에 이어 향후에는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사업자 등이 참여하는 '공공 와이파이 협의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핫스팟(Hot-Spot) 서비스의 와이파이 특성상 무한정 설치장소를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국민의 접촉이 많은 장소를 중심으로 집중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면, 버스, 학교, 관광지, 우체국, 기차역(객차), 공항, 고속도로 휴게소 등 특정 공공장소에 와이파이를 확대해나간다는 구상이다.
공공 와이파이 확대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중심의 공공 와이파이 구축뿐만 아니라 이용고객 편익 증진 차원에서 공공기관 및 민간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방안도 강구한다. 이를 위해 무선중계 주파수 이용, 인터넷 전용회선 이용 지원 등 공공기관 등의 공공 와이파이 구축에 대한 지원방안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협의회와 실무작업반 운영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공공 와이파이 확대를 통한 와이파이 메카 조성의 청사진을 10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국장은 "민·관이 합심해 공공 와이파이를 적극 확대함으로써 국민들에게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IoT, 모바일 광고, 빅데이터 등 신규 부가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