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이것만은 챙기자"…추석 연휴 스마트해지는 필수 앱

'주유9' 애플리케이션.



임시 공휴일·대체 휴일이 포함돼 최장 10일 동안 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올 추석 연휴. 긴 여행을 떠날 때 꽉 막힌 도로를 떠올리면 답답하고, 연휴 기간 마땅히 할 일이 없으면 심심하기 마련이다. 이럴 때 스마트폰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받으면 긴 추석 연휴를 알차게 보낼 수 있다.

◆ "도로 상황 실시간으로"…'전국도로'로 확인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추석 연휴 1일 통행량은 작년 추석 대비 7.2% 증가한 447만 대로 예측돼 꽉 막힌 도로가 예상된다. 특히 추석 전날과 당일에는 도로가 더욱 혼잡할 전망이다. 이 때 구글플레이에서 평점 4.1을 기록한 '전국도로' 앱을 이용하면 전국의 고속도로 소통 상황 정보와 구간마다 설치된 CCTV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교통속보 탭에서 정체, 사고, 도로 공사 작업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국석유공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 주유소의 위치와 유가, 불법행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유9' 앱을 이용하면 위치모드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나 임의로 저장한 위치 기반으로 검색을 할 수 있고 고속도로 모드에서는 선택된 고속도로 별 정보를 알 수 있다. 불법행위 모드에서는 가짜 석유, 정량 미달 등의 불법행위를 저지른 주유소 및 일반 판매소 정보도 제공한다.

'열린 약국' 애플리케이션.



◆ 갑자기 아프다면?…'열린 약국'으로 약국 위치 확인

연휴 때 몸에 이상이 생겨 약국이나 병원에 가야 할 일이 생기면 당황하기 쉽다. '열린 약국' 앱은 사용자 위치 주변에 가장 가까운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한다. 병원과 약국이 종류별로 구분돼 있고 진료과목에 따른 병원 검색이 가능하다. 지도에서 한눈에 병원의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에서 가장 빠른 교통편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명절 때 어김없이 다가오는 '택배 전쟁'에 대비하는 앱도 있다. 내가 보낸 택배 혹은 받아야 할 택배의 위치가 현재 어디쯤에 있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스마트 택배'다. 앱에 접속하지 않고도 푸시 알림으로 내 택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택배 배송정보가 담긴 SMS를 수신하면 앱을 실행할 필요없이 자동 등록돼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택배사의 택배 위치를 알림 받을 수 있다. 또 여러 쇼핑몰의 구매정보를 모아보는 쇼핑다이어리 기능을 제공해 도착 예정인 택배 배송 정보를 편리하게 알 수 있다.

'문화알리미' 애플리케이션.



◆ "황금 연휴에 뭐할까?"…'문화 알리미'로 전국 축제 한눈에

긴 연휴를 맞아 모처럼 여행 일정을 짠다면 '위시빈' 앱을 이용해보는 것도 좋다. 위시빈은 여행 일정을 쉽게 짤 수 있도록 21만개 이상의 여행 일정 정보를 제공하는 앱이다. 국내여행, 해외여행, 자유여행 등 사용자가 원하는 여행 테마별 일정을 찾을 수 있다. 여행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마련되어 있어 여행기, 명소 리뷰 등 실시간으로 정보를 나눌 수 있고 동행 구하기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환율을 계산해 여행 예산을 자동으로 합산해 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여유롭게 공연, 전시, 축제를 즐기고 싶다면 '문화 알리미'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문화 알리미는 전국 3000여 곳의 각종 문화공연 및 행사, 축제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150만여개의 숙박업소, 레저 스포츠, 병원 등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모든 정보를 지도 및 구글 등의 검색 엔진과 연동했다. 최근에는 구청, 주민센터 등 각종 편의시설과 30만여개의 반려동물, 봉사 활동, 상담 관련 센터의 정보도 업데이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