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박종한 매니저가 '최우수 코어네트워크 구현'상을 수상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텔레콤
SK텔레콤과 KT가 글로벌 어워드에서 5세대 이동통신(5G) 관련 부문에서 잇따라 수상하며, 5G 통신기술 선도사업자임을 입증했다.
SK텔레콤은 3일(현지시각) 싱가포르에서 열린 'TechXLR8 Asia 어워드'에서 '최우수 코어 네트워크 구현', 가상화 기술 선도' 등 5G 가상화 관련 총 2개 부문을 모두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올해 10회째를 맞이하는 TechXLR8 Asia 어워드는 전세계 43개국 150여개 지사를 가지고 있는 글로벌 정보통신 기술 연구기관인 '인포마 텔레콤앤미디어' 주관으로, 아시아 지역 이동통신 관련 업계에서 뛰어난 성과와 혁신을 이룬 기업을 선정한다.
우선 SK텔레콤은 사업자 간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동 기술로 '최우수 코어 네트워크 구현' 상을 수상했다. SK텔레콤은 지난 2월 도이치텔레콤·에릭슨과 함께 5G 네트워크 인프라의 핵심인 '사업자 간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동' 기술을 개발하고 독일 본에 위치한 도이치텔레콤 5G 연구소와 연동 시연에 성공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동 기술은 서비스 별로 가상화된 네트워크를 해외 통신사와 연동해 고객이 다른 국가에서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5G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도 국내에서와 같은 품질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5G 핵심 기술이다.
또 SK텔레콤은 가상화 통합 플랫폼 'T-MANO'로 가상화 기술 선도' 상도 수상했다. 'T-MANO'는 장비 제조사에 관계 없이 네트워크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서비스 품질, 트래픽 용량 등을 통합 관리해 전국의 통신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서비스 장애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지난 7월 'T-MANO'를 상용망에 적용했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가상화 역시 5G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꼽힌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이번 수상으로 SK텔레콤의 차세대 네트워크 리더십을 다시 한 번 인정 받았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해 글로벌 대표 통신사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박평수 KT 네트워크부문 상무(왼쪽에서 세번째), 시상자인 '디스럽티브 아시아' 발행자 토니 풀로스(왼쪽에서 네번째)와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KT
KT도 역시 같은 시상식에서 '5G 연구 우수 공로', 'IoT 리더십', '최고 네트워크 사업자' 총 3가지 부문에서 수상했다.
특히 KT는 최고 5G 연구 우수 공로 부문 최우수 사업자상 수상으로 5G 국제 표준화 활동과 내년 평창에서 선보일 5G 시범 서비스를 위한 연구·개발 과정과 결과물을 인정받았다.
KT는 5G 분야 외 IoT 리더십과 최고 네트워크 사업자 부문 최우수 사업자상 수상이 KT가 세계최초로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전국망 상용화를 완료한 점과 배터리 절감기술인 C-DRX를 적용하는 등 끊임 없이 무선 서비스 품질과 기술을 선도해왔던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날 수상자로 나선 박평수 KT 네트워크부문 상무는 "KT는 글로벌 넘버원의 기술력을 가지고,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개발을 통해 고객감동을 줄 수 있는 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향후에도 5G 시대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