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7일부터 예약판매에 돌입하는 애플의 '아이폰8'국내 상륙를 앞두고 이동통신 시장이 한파를 맞고 있다. 국정감사 시즌이 겹치고 아이폰8의 대기 수요로 인해 번호이동 건수가 지난 한 주간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2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같은 기간 2만25건을 기록하던 번호이동 건수가 지난 17~21일 하루 평균 1만4670건으로 1만여건으로 떨어졌다. 이는 전주(10~14일) 같은 기간 보다 27% 감소한 수치다.
번호이동 건수 감소는 '갤럭시노트8' 등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 효과가 점차 줄어든 결과로 분석된다.
판매점 및 대리점에서 이동통신사와 제조사가 스마트폰 판매를 위해 내놓는 판매장려금(리베이트)이 줄어 번호이동수가 감소한 것으로도 분석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추석 연휴 기간 집중 모니터링에 나서고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의 지원금 상한제 폐지 이후 지원금 인상을 두고 이동통신사끼리 '눈치싸움'을 벌인 결과로도 풀이된다.
실제 지원금 상한제 폐지 이후 시장의 예상과는 다르게 지원금 액수는 크게 오르지 않았다. 단말기 지원금 상한제란 단통법 상 출시 15개월이 넘지 않은 단말기에 한해 일정액(33만원) 이상 공시지원금을 제공할 수 없도록 한 제도다.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경우 최근 SK텔레콤이 '갤럭시S8(64GB모델)' 공시지원금을 6만원대 요금제에서 19만원에서 23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갤럭시S7(32GB)' 공시지원금을 같은 요금제에서 14만원에서 34만원으로 높은 것 외에 별다른 지원금 상향 움직임이 없었다.
가계통신비가 주요 이슈로 다뤄지는 국정감사 기간도 이동통신사에게 부담이다.
업계에서는 아이폰8이 정식 출시되기 전까지 이동통신 시장이 얼어붙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출시 이후에도 이동통신 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지도 의문이다. 현재까지 아이폰8이 기대를 밑도는 판매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아이폰8의 글로벌 월간 생산량(11~12월)이 당초 예상치인 1200만대에서 500만대 수준까지 급감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