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여전히 차가운 中, 재계 文 대통령 방중에 거는 기대



중국의 이른바 '사드보복' 조치는 끝났지만 중국 소비자 10명 중 8명은 '사드 갈등'으로 한국 제품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드 현안이 해결되면 다시 한국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소비자가 10명 중 6명에 달했다.

이에 이달 중순 방중 예정인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재계의 기대는 남다르다. 사드로 발목이 잡혀 있던 각종 현안을 풀고 사드 이전으로의 관계 회복에 속도가 붙길 기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6일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중국 내 한국 소비재 인지도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고, 중국 소비자의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 회복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경기 호조세 속에서 중국의 소비재 수입이 지난 8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지만 한국으로 부터의 소비재 수입은 같은 기간 24.8% 감소하는 등 중국 소비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소비재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도 2010년 5.0%에서 지난 1~8월에는 2.5%로 떨어졌다.

최근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가 최근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지만 무역협회가 중국 동·중·서부 3개 권역, 10대 도시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지난 10월 19~30일)를 실시한 결과, 사드 갈등이 한국 제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전체의 83.2%였다.

다만 사드 갈등으로 한국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응답자 가운데 사드 현안이 해결될 경우 다시 한국 제품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자가 63.1%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사드 갈등 이후 한국 소비재가 현지 시장에서 다시 입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국 소비자 수준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류에 전적으로 의존한 마케팅에서 벗어나 중국 현지 젊은층의 경향에 맞춘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해야한다는 주장이다. 다음으로 현지 제도에 맞는 경영 활동의 전개와 함께 중국의 통관, 노무, 환경, 세무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국 측은 향후 한중 관계 개선에도 과거와 달리 관시(관계) 중심의 사업방식에서 벗어나 법과 원칙을 더욱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현지 제도 및 규정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중국 제품들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국내 기업은 직접 현지 조사를 통해 시장 및 제품 차별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중국 소비재와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일부 업체들은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에서 B2B(기업과 기업 간 거래)로 시장을 다각화하는 등 위험을 분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무역연구원 박진우 수석연구원은 "최근 한·중 관계 개선으로 국내 기업들이 서서히 중국 사업 재개에 시동을 걸고 있다"며 "다만 사드 갈등으로 인해 멀어진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다시 얻기 위해서는 진출 지역별 특색을 감안한 현지화 전략을 신중히 계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재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방중이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등을 통해 국내 기업에 씌워졌던 안 좋은 이미지가 벗겨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