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3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서 열린 '세탁기 세이프가드 공청회'에서 관세 부과의 부당함과 함께 미국 내 일자리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번 공청회는 무역 관련 부처가 속한 미국 무역정책위원회(TPC)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권고안을 제출하기 전, 이해관계자 의견을 듣기 위해 USTR가 마련한 자리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입장에서는 공식적으로 항변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 산업통상자원부와 외교부 수입규제대책반은 물론 미국 주정부까지 나서 삼성전자와 LG전자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존 헤링턴 삼성전자 미국법인 선임 부사장은 이날 공청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사우스 캐롤라이나 뉴베리에 짓는 공장은 완전히 통합된 생산설비로 약 1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게 될 것"이라며 "(세이프가드에 따른) 관세는 뉴베리 공장, 우리와 거래하는 소매업체들,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대단히 심각한 충격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시장을 위한 세탁기의 대부분을 뉴베리 공장에서 공급할 계획이긴 하지만 이를 하룻밤 사이에 할 수는 없다"며 "뉴베리에서 생산을 늘려가는 동안 우리 소매업자들과 소비자들에게 모든 종류의 제품을 공급하려면 일부 세탁기를 수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헤링턴 부사장은 "어떤 종류의 관세든 그 궁극적 영향은 결국 미국에서의 생산과 고용, 미국 소비자들에게 '루즈-루즈(lose-lose)'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니 프레일리 삼성전자 사우스 캐롤라이나 가전공장 매니저도 공청회에서 "우리는 이미 504명의 직원을 고용했고, 그들 중 90%는 뉴베리나 그 인근 지역에서 고용된 현지인들"이라며 "세탁기 생산라인이 모두 가동되는 2018년 말까지 1000명의 직원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프레일리 매니저는 "그러나 이는 바로 일어나지 않는다"며 "삼성의 수입량을 줄이는 관세는 (뉴베리 공장의) 점진적인 생산량 증대나 생산 이전 전략에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며 공장이 제대로 가동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요청했다.
LG전자도 공청회 이후 내놓은 성명을 통해 "LG와 삼성 모두 미국에서 세탁기를 생산할 것이기 때문에 수입 규제는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이면 북미 시장에 공급하기 위한 LG와 삼성의 세탁기 중 수입분은 30%에서 4%까지 떨어질 것"이라며 "이는 테네시주에 해롭고, 미국의 일자리를 위태롭게 하며 미국 경제에 손상을 입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핸리 맥마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랄프 노만 연방 하원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주), 킴 맥밀란 테네시 클락스빌 시장 등 미국 주요인사도 이날 공청회에 참석해 세이프가드가 삼성전자와 LG전자 미국 공장 가동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