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 이지연(24)씨는 지인들의 생일이 돌아오면 고민이 깊다. 거리가 멀어 평소에 잘 만나지 않아 생일에 뭘 챙겨줄지부터 따로 선물을 전해줄 시간을 빼는 것도 일이기 때문이다. 이씨는 최근 이러한 고민을 카카오톡(카톡)으로 해결했다. 카카오톡의 '선물하기' 탭에 들어가면, 생일, 새해선물, 특별한선물 등 테마별로 지인 '맞춤형' 선물을 고를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직접 만나서 주지 않고도 카카오톡으로 바로 전달한 뒤 수신자가 주소만 입력하면 배달이 되기 때문에 간편하다.
인공지능(AI)을 만난 카카오톡이 개인 비서로 진화하고 있다. 상품을 판매하는 스토어, 음악듣기, 영화 예매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향후에는 민방위 훈련통지서, 지방세 납부 내역 등도 카카오톡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8일 IT업계에 따르면 오는 2분기경 카카오톡을 통해 민방위 통지 등 정부·공공기관의 공문서도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카카오의 핀테크 자회사인 카카오페이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공문서의 전자유통을 제공할 수 있는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지정 신청을 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지금도 인증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공인전자문서중계자가 되면 각종 기관이나 문서 등 처리에 있어 서비스를 여러 방면으로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카톡을 바탕으로 한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는 금융 서비스 내 본인인증 및 전자문서 서명 등에 활용되고 있다.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 지정되면 취급 대상이 정부·공공기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자연어 인식이 가능한 대화형 채팅 로봇(챗봇) 서비스도 상반기에 내부 서비스 위주로 출시되고, 향후 써드파티까지 오픈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상반기 중 내부에서 먼저 CBT 개념으로 챗봇 서비스를 선보이고 상반기 말께 외부 사업자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오픈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주문하기'에서 챗봇이 활용되면, "피자 추천해줘" "메뉴 보여줘" 등의 문자 대화를 통해 카톡으로 메뉴를 보고 추천받을 수 있다.
카톡에서 챗봇이 상용화되면 카카오의 AI 스피커 '미니'에도 음성형, 문자형 투트랙으로 도입될 수 있다.
임지훈 카카오 대표는 자사 블로그 서비스인 '브런치'를 통해 "비서 같은 카카오톡을 만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 같은 공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카카오의 인공지능(AI) 플랫폼 '카카오I(아이)' 도입은 카카오의 '개인비서'에 결정적이다. 카카오 I는 음성 인식 및 합성기술, 자연어 처리기술, 이미지 인식과 같은 멀티미디어 처리기술, 챗봇과 같은 대화 처리기술 등 카카오 AI 기술이 집결된 통합 인공지능 플랫폼이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1200만을 돌파한 카카오톡 치즈는 카카오I의 음성 인식 기술이 적용돼 이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시켜 개인화된 스티커를 제작해준다.
실제 카카오는 AI와 관련해 폭넓은 업무협약(MOU)를 체결하며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포스코, 코맥스, 현대·기아차, 삼성전자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은 카카오톡이 95%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