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CE(소비자가전)부문장 김현석 사장이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8' 개막에 앞서 미래 비전과 2018년 주요 사업을 소개하는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기기간 연결성을 넘어 지능화된 서비스를 구현하겠다는 'Intelligence of Things'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삼성전자
【라스베이거스(미국)=정은미 기자】 "삼성전자는 더 많은 소비자들이 누릴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순히 기기간 연결성을 넘어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Intelligence of Things for Everyone)."
삼성전자 김현석 CE(소비자가전)부문장 사장은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8' 개막에 앞서 프레스 컨퍼런스 갖고, 이같이 미래 비전과 2018년 주요 사업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다가올 사회의 핵심 트렌드를 '인공지능에 기반한 연결성'으로 정의하고, 삼성이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홈(Home)-비지니스(Business)-모빌리티(Mobility)라는 3가지 상황별 시나리오를 통해 설명했다.
김 사장은 "삼성이 만들어 나갈 서비스를 위해 40여개의 파트너사 370여개의 기기가 연결돼 있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중심으로 전사적인 IoT 플랫폼 연동 작업을 진행했다"며, 3가지 주요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클라우드의 통합'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 3자 기기와 서비스를 스마트싱스와 연동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삼성전자는 올해 삼성 커넥트(Samsungs Connect), 아틱 (ARTIK)을 스마트싱스(SmartThings) 클라우드로 통합하고 하만의 전장용 플랫폼인 이그나이트(Ignite)까지 연동해 집 안의 가전제품에서 차 안의 오디오까지 서비스 범위를 확장했다.
그러나 연동 방법이 복잡하거나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소비자가 사용상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앱의 통합으로 기기간 연결성이 확보했다.
이러한 삼성전자의 서비스는 AI 비서인 빅스비가 전면에 나서 수행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자사의 전체 스마트기기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다는 목표다.
또한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와 가전제품에도 기기별로 최적화된 보안의 녹스(Knox) 기술을 적용해 안전한 IoT 환경 구현에 나선다.
김 사장은 "소비자들이 올 상반기 내 스마트싱스 앱 하나로 삼성의 모든 IoT 기기들과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스마트싱스 앱이 삼성 IoT 서비스의 아주 간편한 '리모트 컨트롤'이 돼 줄 것"이라고 자신했다.